조회 수 580 추천 수 2 댓글 8
Extra Form
IQ 종류 수리/도형, 수리/언어
IQ 측정값 123
안녕하세요. 우연히 게시판을 발견하고 넋두리 올려봐요.
두서없는 글 싫으시면 맨 밑으로 내려가셔서
아이큐 관련 이야기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현재 사회에 공헌하는 훌륭한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망상하고 있는 인간입니다.
내가 꿈꾸고 있는 기준에 제 능력치... 가 부족한 수준이라면
내 지능 수준에서 맞는 일을 하며 살아야 겠다는 생각에...
아이큐 검사를 간략하게 해봤습니다... 
공부량이 많이 부족했던터라 공부를 하면 사고적인 발전이 늘까요?ㅠㅠ

초 4부터 가정사 속에서 왜 내가 이렇게 살아가야 하는가 생각이 피어올랐고
근데 양아치 수준도 아니고 얌전했지만
속은 앞으로의 삶이 두려운 탓에
곪아서 온갖 반항적인 생각만 했었습니다.

결국 중1 후반 때 심한 사춘기가 찾아와서 공부를 아예 놓았습니다.
그림을 좋아해서 그나마 공부 놓은 시간동안에는 캐릭터 그림을 그렸구요... 
하지만 미대는 진학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꿈이 없었습니다ㅠㅠ 그렇다고 뭔가에 강요당하는 것도 싫었습니다.

그땐 그저 이 세상이 싫다, 그치만 사람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 돈 많이 벌고 싶다고 되뇌이는 날들...

중 1 초반 때 지역아동센터를 다니면서 공부했지만 공부하는 삶보단 친구들과 노는 시간이 좋았습니다.
우선순위는 친구였고, 공부에 의욕이 안 솟고 내가 하고 싶은 거만 하던 삶을 살았던 것 같습니다. 물론 하고 싶은 것도 명확하지 않아서 정신이 너무나 힘들었습니다.
그렇지만 후회는 하지 않습니다... 그런 경험 덕분에 현재 이런 사람이 되었다고 생각하니까요!!!

혼자 인생이 허무하고 공허하다는 생각으로 살아오며 저를 정의하는 데에 시간을 쏟았었구요.
위에 말씀드렸듯이 중1 후반에는 공부를 놓고...
중2~중3 초반 청소년 상담센터를 다니며 시간이 지나니까 슬슬

중3 후반 때부터 이렇게 해선 안되겠다 생각이 들어서
중학교 국수영 교육을 중1 후반에 뛰쳐나온 지역아동센터에서 받았습니다.
(학원 다녀온 뒤에 혼자 공부하는 건 왠지 모르게 의욕이 솟지 않아서 전혀 하지 않았음... 집 돌아온 시간에는 그림 그리고 스마트폰을 했네요.)

고1 초반엔 두근거리는 마음을 안고 열심히 하려 했으나
중반 때부터 또 인간관계에 휩쓸려 우울을 겪었다가
극복하고 싶어서 유튜브에서 명상도 배웠다가 하다보니

고2때부터 찾아온 코로나 + 비대면 + 리그오브레전드 입문
다니던 지역아동센터도 고3 중반에 나와버리고 (다녀도 혼자 공부한 게 없어서 그대로였음. 차라리 나와서 혼자 고민하면서 어떻게든 해보자는 생각이었으나...)
롤 유튜브 친구에 빠졌었네용. (그림도 안 그렸음... 이건 후회됩니다)

수능 성적은 56566으로 마감했습니다.
사탐이었으면 6은 안 떴을텐데 공부도 안하면서 과탐 선택했었네요. 

한국 학생 평균 공부량의 대부분을 공허하게 쉬다가 현재 전문대 공과계열에 입학했습니다.
다행히 좋습니다. 낙천적으로 생각하면 좋아요.,,

그렇지만 이젠 참을 수가 없는 건... 아무리 괜찮은 척 하고 다니지만 내가 기본 지식이 없다는 것이 화납니다.
내 수준은 이정도가 아닌데. 생각도 많았고 인생에 대해 잘 아는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결국 기초 공부를 하지 않으면 충족이 되지 않는 게 있네요. 제가 생각하는 것들이 다 망상같아요...
두서없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본론입니다.
아이큐나 기본 수치들은 앞으로 공부를 해나간다 해도 발전이 없을까요?
선천적인 거니까...ㅠㅠ 하지만 공부를 한다면 대학은 바뀌겠죠?


경계선 지능에 대해 알고 내가 경계선 지능이면 어떻게 하지 싶어서부터 시작해
내 수준이 어느정도인가 궁금해서 직업적성검사를 먼저 했습니다.

처음엔 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105 정도로 나오고
수리/언어 112
던져놓고 며칠 뒤에 안해봤던 수리/도형 123
떠서 의문을 가지고 글 올려봅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감으로 해서 잘 찍어졌든 해서 높게 나왔나 싶네요.
확률 구하고 통계 구하는 부분이 약해서...
중2 즈음에 학교에서 한 지능검사가 121 이었던 것 같습니다.

공부를 조금 해보고 웩슬러까지 받아볼까 싶어요. 괜찮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akaoTalk_20220327_020829092.png

 

22.P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26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35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0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68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67
4405 웩슬러 분석 부탁드립니다 3 file 루루 2022.03.31 753
4404 니코로직 테스트 어려워요ㅜㅜ 2 file 신비 2022.03.30 323
4403 SD15 138이라는데 SD24로 환산 어떻게 하나요? 1 file 질문있어요 2022.03.30 2798
4402 웩슬러 분석좀해주세여 9 file 홍시 2022.03.28 1840
4401 공통성이랑 행렬추론은 정확히 무슨 차이인가요? 6 햐뉴 2022.03.28 572
4400 워크넷 직업적성검사 해봤습니다 1 file 워크넷 2022.03.28 726
4399 아인슈타인, 존 폰 노이만 머리 크기는 다소 작은 편. 5 화성인 2022.03.28 1007
4398 재시로 다 맞췄습니다 file hustaf 2022.03.28 226
4397 하버드 대학 교수의 IQ가 궁금해요 신비 2022.03.28 655
4396 뇌의 크기와 지능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리글(영상정... 6 하늘 2022.03.28 705
4395 학교 IQ의 문제점 지적한 기사 5 file 화성인 2022.03.27 568
4394 A real me 사이트 IQ 결과 3 file 신비 2022.03.27 336
» 갓 스무살 앞으로 발전 가능성... (수리/도형, 성인... 8 file 이상한나라의앨리스 2022.03.27 580
4392 일반지능검사A,B형 문제 유형 8 화성인 2022.03.25 553
4391 지능과 투표권에 대한 의견교환 요청 12 하늘 2022.03.25 255
4390 20살까지만 뇌의 영역들이 발달하다니 뇌는 가장 일... file 신비 2022.03.25 263
4389 IQ가 높을수록 자신의 능력이 기대이상보다 좋아요 2 신비 2022.03.25 541
4388 옛날 학교에서 실시한 아이큐의 표준편차는 15입니다. 1 file 표준편차 2022.03.24 1788
4387 우리나라 최초 지능검사 1 file 지능검사 2022.03.23 561
4386 130 이상만 되어도 아주 우수한 지능입니다 6 Sdf 2022.03.23 717
4385 재미삼아서 간만에 해본 수리 언어 도형 5 file 하늘 2022.03.23 452
4384 전문대입니다 2 file 안양하세여 2022.03.23 309
4383 오염되지 않는 자신의 IQ를 아는 방법이 있어요 1 신비 2022.03.22 431
4382 중 2 두번째 시도. 이것은 몇개 틀린것입니까? 5 file 늑대 2022.03.22 260
4381 35 대 1 님게임 에피소드 10 화성인 2022.03.19 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