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50 추천 수 4 댓글 6
Extra Form
IQ 종류 멘사132
IQ 측정값 71
제목 없음.png

 





일단 멘사유형의 검사를 해보았다. 매우 쉬웠다. 이런 것은 해당의 규칙을 조금만 알기만 해도 응용가능해 풀수 있는 수준이었다. 다른 분들이 아무리 멘사유형의 더 어려운 문제를 푼다고 하여도 비슷할 것 같았다. 기본적으로 멘사유형에서는 도형이 어떻게 배치되고 원리가 무엇인가를 중요하게 따진다.

따라서 이런 유형의 문제를 풀어도 두뇌자극은 되지 않는다. 다만 이런 시험을 풀고 점수가 높게 나와 만족감을 가진다면 말리지는 않는다. 다만, 이런 문제보단 수학영재문제들과 어려운 수학과학문제를 풀어보는게 나을 것 같았다. 왜냐하면 영재문제들은 죄다 뇌를 자극시키는 고도의 사고를 요한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한번 풀게되면, 그것이 두뇌에 남아 더이상 자극을 받을수도 없게 된다. 그러니 문제를 백날 푼다고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뇌를 쓴다는 것, 특히 지성을 격동시킬 정도의 뇌를 쓴다는 것은 내가 생각하기에 궁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한 질문이나 문제를 찾아내어 그것을 오랜 시간 몰입한다. 그 뒤 그것을 해결하게 되면, 그 문제에 있어서는 뛰어난 뇌를 가지게 된다. 그 방법을 통해 여러가지 문제를 다루고 질문을 던지고 해결하기를 반복하면 어떨까? 이 세상에는 질문거리들이 참많다.

연애를 잘하는 법에서부터 시작해서, 사업을 일으킬때에 사업을 어떻게 잘되게 할지, 우리 가게를 어떻게 손님들이 몰리게 할지, 철학적인 문제나 개념을 어떻게 내 머릿속에 구조화시킬 것인지, 부모님에게 어떻게 사랑을 전달할수 있을지, 사랑이나 신뢰나 믿음이라는 것은 지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이러한 유형, 이러한 문제인 멘사유형은 사실들 중에서 아주 극소수만을 판별할수 있다. 하지만 우리 삶에는 이렇듯이 해결해야할 문제가 널려있다. 그런 문제들을 고민하면 우리의 두뇌가 발달한다. 우리는 수학적으로도 문제에 접근을 할수 있고 철학적 심리학적으로도 접근이 가능하다.

그 과정에서 문제를 잘 해결하는 해결사가 된다면, 그것을 통해 돈을 벌어들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된다면, 우리들이 해결한 문제를 다른 사람들도 해결하고 싶을 것이기 때문이다. 난재를 해결한 천재 수학자 오카기요시는 우리의 두뇌는 고도의 집중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고, 휴식시간을 통해 조여졌던 뇌가 풀어지게 되면서 지력이 단련이 된다고 한다.

따라서 고도의 어려운 문제들을 연구한 뒤 적당한 시간에 휴식을 취해주기를 반복하며, 그것을 주기에 따라 반복해 오랜시간을 그런 상태로 보냈을때 우리들의 재능은 개화하게 된다. 음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특정 부분의 음악의 패턴이 의아하거나 질문거리가 있다면 그것을 물고 늘어지고 스스로의 사유체계 안에 그것을 구조화시켜 넣어 나만의 것을 탄생시켜야한다.

그 과정에서 재능은 꽃을 피우고, 우리들은 몰랐던 것을 깨닫게 된다. 책을 읽고 사유할때도 마찬가지다. 나는 요즘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를 보고 있는데, 비트겐슈타인이 정의한 언어에 대해 한참을 연구하며 사유하는게 즐거웠다. 그 과정에서 그 철학자의 생각이 나에게 스며들고 있었다.

그러나 지성의 모든 면에서는 사고력도 중요하지만, 오랜 시간, 오랜 생각 끝에 나온 깊고도 깊은 그런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아인슈타인은 항상 생각하였다고 했고, 뉴턴도 왜 사과가 떨어지는지를 아주 오랜시간 궁구하여서 정답을 알아내었다.

인간의 지성에 대해 약간의 힌트를 줘보자면, 우리 인간의 지성은 놀랍도록 풍요로워서 특정 생각을 깊이있게 할때에 그 깊은 곳까지 들어가는게 가능해진다. 비트겐슈타인의 일기를 보면, 비트겐슈타인은 신이시여 깨닫게 하소서를 여러번 반복해서 적은게 나타난다.

그런 것을 본다면 비트겐슈타인이 얼마나 궁구하면서 살아왔는가를 알수 있다. 그 세기의 천재인 비트겐슈타인도, 심지어 옛날 시대의 솔로몬 왕도 궁구하여 잠언을 지어낸 것을 보면 지성은 궁구할때에 발휘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보통 이 사이트나 여러 사이트에서 지능을 검사하면 그것이 자신의 것인줄 알고 포기하거나 희망을 얻거나 둘중 하나이다.

그런데 필자는 그렇지 않다. 필자는 지능지수가 매우 낮음에도 포기하지 않았다. 지성의 활용법만 알고 있다면, 모든지 할수 있다고 생각하며 살았다. 아직은 필자의 나이가 젊어서 그것을 확인할수는 없지만, 필자에겐 믿음이 있다. 모든지 해낼수 있다는 강력한 믿음.

그리고, 이 글이 지능지수에만 연연하지 않는 여러분들을 만들어주었으면 좋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55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73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4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906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80
5135 너무 적나요? 3 5-4 2011.12.17 6223
5134 질문.. 2 바보 2011.02.17 6223
5133 맨사아이큐검사- 128 1 Day 2013.01.20 6215
5132 나 170떳음 7 ㅋㅋㅋ 2009.08.30 6211
5131 상위 0.5%비율이신 분들이 왜케많죠? 5 UBC 2012.11.03 6205
5130 ㄷㄷ 이거 정확하진 않죠? 4 EH연 2012.01.13 6191
5129 요즘사람들은 추리를 잘하게 만드는 환경이어서 8 4yks 2011.04.02 6187
5128 우왓! 131! 핳ㅎ 2014.04.19 6174
5127 표준편차가 뭐에요?표준편차에따라 아이큐틀린데 3 ㅋㅋㅋ 2009.07.04 6168
5126 아이큐 ㅋㅋ 1 asd 2011.10.25 6163
5125 이 정도면 괜찮나요? 2 석이 2012.02.17 6149
5124 이 아이큐테스트 신빙성이 어느정도 되나요? 2 백세환 2015.03.19 6143
5123 제 수준이 .... 2 IQ 번역기 2013.04.21 6139
5122 만17.표편15 iq 134 1 박광현 2014.10.19 6103
5121 와 생각보다 높다 3 김떵개 2011.04.08 6076
5120 인터넷엔 왜 IQ가 높은 사람들이 많은가? 1 Theory 2013.08.10 6049
5119 이거 믿을만 한가요? 1 궁금이 2011.12.20 6037
5118 저 아이큐좀 봐줘여 2 2011.10.25 6026
5117 피싱사이트조심!!! 6 로즈마리 2012.01.11 6021
5116 35년만의 아이큐 드디어 알았네요. 4 ㅎㅏㅎㅏ 2010.07.15 6018
5115 아이큐 이거 정확한가요 3 kimdo135 2010.12.12 6013
5114 이거 진짜 낮은거죠 ㅠㅠ 5 이영욱 2008.04.25 6004
5113 온라인에서 고지능 검사하는 방법은? 1 뀅뀅 2013.08.11 5990
5112 아이큐와 학업성공의 상관관계 2 asd 2013.08.07 5983
5111 진지한 고민 2 중3학생 2011.04.12 59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