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92 추천 수 0 댓글 2
Extra Form
 
제가 푼 문제랑 전혀 다른 문제가 올려져 있어서 재 언급을 합니다.
재가 푼 로직은 정답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출제자가 원하는 답이 아닐뿐 내적 논리는 출제자가 원하는 답과 같은 구조입니다.
설명을 하죠.
 
1, 4, 5, 56, ?, 12, 13, 240
이게 제가 접한 문제입니다.
 
앞,뒤,앞,전체,? 뒤,앞,전체
만약에 이런식의 문제가 있다면 여러분들께서는 무엇을 정답으로 하시겠어요?
당연히 ‘앞’을 답으로 할것입니다.
 
제가 로직해설에 올린 것과 원리가 같은 다른 해설을 해보겠습니다.
 
(1,2) (3,4) (5,6) (7,8) (9,10) (11,12) (13,14) (15,16)
위의 두쌍의 수중 패턴에 의해서 한 개를 대표 수로 나타냅니다.
1(앞) 4(뒤) 5(앞) 7*8(전체) 9(앞) 12(뒤) 13(앞) 15*16(전체)
자 어때요? 논리적으로 전혀 에러가 없습니다.
 
이것이 제가 푼 원안 문제이구요,
 
출제자가 다시 올린 문제는 사실상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만약에 제가 수정된 문제를 접했다면
일단 원안 문제를 푼 형식으로 접근을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지막 항이 17이 나와야 하는데 1이 나왔네 어! 아니네 했을 겁니다.
고민에 잠겨겠지요.
그럼 1차적으로 떠오로는 로직은 주기성입니다.
전체가 된후엔 어떤 뭔가에 의해서 1이되는가? 라고 나에게 반문을 했을 겁니다.

그럼 또 다른 외부 논리의 개입이 일어난것인가? 라고 2차 발상을 했을 것입니다.
2차발상은 1차발상으로 정답도출이  안될때 하는 것입니다. 
2차발상의 결과물은 아마도 출제자가 제시한 지수승을 알아챘을 겁니다.
1이 나올려면 1*1이 되는데 그렇다면 수학적으로 1과 동일한 개념이 뭔가
2/2 5/5 이런 개념 그리고 2^0승 N^0승이구나 라고 발상을 하는 순간
아하 00 01 10 11 ::: 00 01 ........ 제가 첨 제시한 쌍둥이 로직과 같은 모양새가 나옵니다.
 
원래 자기가 생각한 논리가 계속 맞다가 하나가 틀릴 경우 난이도는 급상승합니다.
인간의 두뇌는 사고의 흐름을 바꿀 때 강한 저항감을 주거든요.
 
만약에 마지막항이 17이 나오면 저의 논리가 맞는것이지만 1이 나왔네요..
 
그럼 일차적으로 지수승 발상을 하지 않고 저는 아마도 분명 주기성으로 발상을 했을 것같아요.
 
그럼 첫 시작은 1로 하고 전체가 된 그 담 항은 1이 되는구나
그럼 첫시작 그 이전항은 전체 항이 있었겠구나 라고 생각을 했을 것 같습니다.
 
그럼 놀랍게도 저는 지수승 개념을 도입하지 않고도 정답을 1로 했을 것 같네요.
 
그럼 문제를 제가 다시 각색을 해보겠습니다.
 
보이지 않는항
{{전체}}, 1, 뒷,앞 전체,( ) 뒷,앞,전체,1
제눈엔 출제자 출제한 문제를 이런식으로 보았을 것입니다.
그럼 아하.. 전체가 나온 다음항은 1이 되는것으로 출제자가 설정을 했구나..
 
이런식으로 접근을 해도 됩니다..
 

총평:
출제자가 출제한 논리구조는 정말 좋네요.. 창의적인 발상이 돋보이고 참 아름답습니다.
하지만 제가 문제를 접했던 그 문제와는 전혀 다른 문제였다는 것을 제가 말하고 싶구요,

출제하시는 분이 그 논리적 구조위에 숫자 나열을 좀 다르게 했으면 더 좋았지 않았을까
하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합니다..

사실 출제하시는 분의 00 01 10 11 다음에 00은 본인의 의도로 주기성을 준것이거든요.
즉 저의 답안도 쌍둥이 로직 주기성을 제가 언급한것입니다.
저의 글을 통해서 같은 로직인데도 앞,뒤 개념으로 다르게 해석을 하는 방법이 있구나 라고 아시면 좋겠네요
 
사람의 두뇌는 가장 간단한 로직을 먼저 검색합니다.
그리고 그런 베이스위에 명증한 답이 나오면 그것이 정답으로 생각하죠.
바로 오캄의 면도날 법칙입니다.
출제하시는 분의 의도는 지수승을 넣은것이지만
푸는 사람 입장에선 복잡한 논리를 첨부터 생각지는 않거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380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247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343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1006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932
5241 웩슬러 지능검사로 125가 나왔는데요 2 소보로빵 2023.10.12 1105
5240 2시간 걸리던 치매검사 뇌파검사로 5분만에 진단 2 화성인 2023.10.11 265
5239 의식에 대해, 색다른 관점 2 재구성 2023.10.11 162
5238 신비님이 공통성 점수를 높이고 싶으면 비디오게임... file 소닉좌 2023.10.10 157
5237 자작 창의발상 퍼즐 5 매미 2023.10.10 341
5236 공부도 재능이다. 화성인 2023.10.09 484
5235 개인적으로 볼때 플린이펙트란 사고력 상승ㅡX file 소닉좌 2023.10.09 113
5234 노르웨이 멘사 테스트 해봤습니다. 4 file 브레인 2023.10.08 573
5233 요새 멘사테스트 어디서 보나요? 1 file qqqqq 2023.10.08 284
5232 에.. 님들이 진짜 고지능자인지 알려면요 6 file 딥러닝 2023.10.08 748
5231 한국 멘사가능한가요? 5 승환 2023.10.06 439
5230 이정도면 높은건가요? file 1371bsy 2023.10.06 287
5229 국가주의가 애국일까? 2 화성인 2023.10.04 176
5228 IQ와 사고속도 7 신비 2023.10.04 704
5227 간당간당한데 멘사 해볼까여?? file 큘큘 2023.10.04 242
5226 흥민 손 우리 쏘니 국대 차출에 대한 소견 화성인 2023.10.03 82
5225 언어 퀴즈에 대한 본인의 로직 2 화성인 2023.10.02 264
5224 아이큐100-102 라니 1 노무법인 2023.10.02 460
5223 언어퀴즈 1 파블로 2023.10.02 210
5222 인공지능 vs 초고도지능자 에서 사람의 강점은 뭘까요? 1 fujii souta 2023.09.30 202
5221 AI랑 이야기한 미래의 IQ 해석 방식 화성인 2023.09.29 170
5220 영역 점수 총합과 FSIQ 관계 IQ 200의 존재양식 1 화성인 2023.09.28 439
5219 우울증 환자입니다 file 멍청이 2023.09.28 249
5218 IQ의 결과 오랜만에 올려요 file 신비 2023.09.28 352
5217 웩슬러 지능검사 감점요인 1 변증법 2023.09.27 3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