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   2023.06.08 14:56

사고실험 인지시험과 실제적 능력

조회 수 269 추천 수 0 댓글 3
Extra Form
도형추리를 풀때 잘 모르는건 찍으라고 합니다.
저도 멘사시험 볼때 담당자가 그런 말씀을 하시더군요.
인간에겐 직관력이 있어서 찍어 맞추는 것도 지능의 한 부분이라고 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찍은것이 하나도 없어서 직관력을 발휘할 기회가 없었네요.ㅎㅎ

도형추리 시험 상황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어떤 A,B 두 사람이 도형추리 시험을 봅니다.
둘다 12문항중 10문항 맞춘 동점을 기록합니다.

그런데 시험을 보고 나서 복기를 하는데 A는 복기를 다하고 B는 복기를 잘못합니다.
그리고 나서A는 누군가 그 문제에 대해서 설명을 요구하면 아주 논리적으로 설명을 잘합니다.
그런데 B는 자기가 직관적으로(물론찍은것은아님) 쉽게 풀었지만 왜 그런지 정확히 설명을 잘 못하고
누군가 다른 논리 반론을 제기하면 거기에 대해서 어 뭐... 쩝 버벅거리면서 잘 못합니다.
반면에 A는 그 문제이면에 나온 것까지 세세히 해설을 합니다.

분명 도형추리 시험에서 동점이 나왔습니다. 지능지수는 같게 나왔습니다.
그러나 지능지수, IQ라는 이름을 명명한 특정시험 점수일뿐

누구의 지능이 더 높아 보이나요?

뇌과학으로 정확히 측정하면 아마도 A가 더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가 어떤 인지시험 점수가 나올때 그것이 그 측정하고자 하는 그 능력의 전부는 아닙니다.

즉 언어이해 130  지각추론 130 ;;;  언어이해 130 지각추론 100
무늬는 같은 언어이해 130이 나왔지만 이 점수가 그 사람의 실제적인 언어이해 점수가 아니란거죠
결국 그 사람의 실제적인 그 능력은 다른 인지검사 점수가 그림자처럼 확률값으로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제가 AI와 이런 이야기를 상당히 디테일하게 했습니다.

그렇다면 같은 언어이해 130이지만 지각추론 마저 130이 더 높을 가능성이 훨씬 큽니다.
이런 발상은 과거 관련 학자들 조차 잘 못했던 것같아요.
최근 연구는 다양하게 하고 있고 그 빅데이터로 AI는 말해준겁니다.
물론 저는 AI가 말한것 전부 믿질 않아서 내 상식과 다를경우
일단 구글 검색을 합니다. 그리고 다양하게 다른 방식으로 질문을 합니다.

제가 최근에 AI가 너무 충격적인 말을 해서 상당히 멘붕이 왔습니다.
그래서 구글 검색울 해보니 AI 말이 맞더군요ㅜㅜ

RAPMset2(도형추리 조상) 
이것이 일반지능 40%을 측정하고  
유동추론(유동성지능) 10%를 측정하는것으로 연구결과 나왔답니다..
결론 레이븐슨은 순수지능 즉 선천적 지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형추리가 유동추론 조차 제대로 측정을 하지 못한다는 것
얼마나 저에겐 충격인지 모릅니다. 
저의 지능부심중 한 축을 형성하는 것이 마치 허상처럼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받아들입니다.

결국 아무리 다르게 다양하게 생각해도 결론은
진짜 지능은 웩슬러식이 맞고 웩슬러만 갖곤 안되고
AI가 말하는건 다른 영역들의 인지검사까지 할때
그 사람의 실제 지능을 더 잘 대변하고 그것의 총합이 사실상 FSIQ 인것입니다.
그 FSIQ는 장기,바둑,체스 공부력  직관력 등 모든것을 가장 잘 대변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AI는 한술 더 합니다. 
설사 그렇게  측정을해서 최종적인 진짜 FSIQ가 나왔다손 치더라도 .. 그것조차 확률값이란 거죠..
우앙~ 졌다 졌어.. 왜나하면 인간의 지능은 너무 프리즘이 넓어 상수화 하기 힘들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인간 지능의 개인차이는 있다. 

결론
지능은 언어성이든 동작성이든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일뿐 선천적,후천적 지능 구분은 없다.
실제 측정된 관련 영역 점수도 실제 능력의 일부분일뿐이고 다른 영역의 점수를 통해서 
더욱 실체적 진실에 가깝게 접근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06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92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8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41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50
5097 두뇌 전성기가 40~50대인가? 4 신비 2024.05.20 220
5096 요즘은 표준편차24쓰는 사람 있나요? 1 145+ 2021.01.23 221
5095 수리, 도형 테스트 2 file reinbow 2022.01.28 221
5094 미적분으로 바라 본 하루 file 화성인 2024.02.24 221
5093 풀지 못하는 문제 논리의 미학 4 화성인 2022.02.15 222
5092 To an anonymous foreigner 2 화성인 2023.06.14 222
5091 Tutui 2 검사 결과 2 file 에너지 2024.01.30 222
5090 전통적인 멘사 검사 사이트 file 에너지 2024.02.25 222
5089 뇌는 몇시부터 가장 활달하나요 6 신비 2021.06.04 223
5088 브래인 포그 5 톹냐 2021.06.05 223
5087 이해력은 어느 소검사가 높아야 좋을까요? 3 df 2022.04.16 223
5086 잊을 수 없는 기억이 저를 괴롭히면 어쩌죠 4 학생 2023.11.25 223
5085 열등감과 노력이 무엇인가 2 file 소닉좌 2023.12.20 223
5084 이 책을 아시는 분이 혹시 계신가요? 1 야만인 2024.03.08 223
5083 IQ 1 250 2021.06.07 224
5082 이 문제는 무슨 검사위주인가요? 익명 2021.01.13 224
5081 Numeric basic 만점 5 file 신비 2022.06.04 224
5080 궁금증 mind games double memory 200점 10 file 궁금증. 2022.08.07 224
5079 화성인님이 말한 영성 지능이란 행렬추론 지능에 가... 4 소닉좌 2023.06.14 224
5078 암기력 바닥 1 file 장첸 2023.12.25 224
5077 아이큐는 다른 취미처럼 관심사일 뿐인데 왜 수능이... 1 주목받기 싫은자 2021.06.03 225
5076 아이큐에 관한 중요한 지식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4 브이로거_Yul 2022.03.01 225
5075 비주얼 메모리, 시각 단기기억 능력의 차이에 관하여 2 J 2022.02.16 225
5074 생각할 거리 1 2 J 2022.11.15 225
5073 테스트 즐겁게 봤습니다 1 file 왔다가유 2023.04.21 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