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   2023.06.09 22:05

암기력,기억력에 대한 오해들

조회 수 457 추천 수 2 댓글 4
Extra Form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억력과 암기력을 아주 평가절하 하는 경향을 많이 봅니다.
아마도 이것은 매스컴의 영향이 큰듯 합니다.
영화에 한번 보면 외우는 주인공, 혹은 서번트들의 놀라운 기억력
그리고 방송같은데 영재들이나 기억법 고수들의 암기력 이런것과 비교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억력,암기력 조금 다른 개념이지만 이번 글에서는 같은 의미로 제가 쓰겠습니다.
기억력(암기력)이란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일단 문장으로 된 텍스트 내용을 기억하는 것으로 좁힙니다.

기억력만 나홀로 독존하는 것이 아닙니다.
서번트들은 다른 것없이 그냥 기억력이 좋고 기억합니다.
서번트는 아니지만 비정상적으로 기억력이 발달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일반지능이 높고 자연스럽게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일겁니다.
수학자 오일러, 파스칼 그리고 존 폰 노이만도 경이적인 기억력 소유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유독 기억력이 너무 발달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사고력이 떨어집니다.
그냥 기억력만 좋습니다.

사실 우리 인간의 두뇌는 범용성을 추구합니다.
특이한 능력을 발현하는것보다 일상생활에 잘 적응 할수있도록 두루 두루 범용성입니다.
범용성이 문제가 발생했는데 알수없는 현상으로 특수 분야에 어떤 초천재도 이기지 못할 능력을 발현합니다.
그것을 우리는 서번트 라고 부르죠.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범용성의 두뇌를 가지고 있고 당연히 두루 두루 두뇌형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학습상황때 특수용도인 기억력을 발현할려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됩니다.

사람들이 의외로 많이 범하는 것이 기억력을 단일한 요인의 발현으로 만 접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두뇌는 범용성입니다.

그렇다면 답이 나오죠..
우리들은 서번트가 아니기때문에 범용성의 기능을 다각도로 활용해서
기억이라는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역으로 기억력만 발달한 사람들은 범용성 기능에 문제가 보통 발생합니다.
결코 행복한 일은 아닙니다.

만약에 책 100페이지의 내용을 기억해야 할 일이 있다.
보통 기억을 한다는 것은 토씨 하나 하나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 세상 살면서 그걸 기억한다는 것은 너무 비상식적인 것이고 
누군가 그걸 요구한다면 그 상황이 참 이해가 안되죠.

100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의 의미와 맥락 그리고 그속에 구체적인 사실을 흐름을 타면서
기억을 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기억을 잘하기 위해서는  다른 자원의 지능군단들의 구원출전이 필요합니다.
문장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 언어이해 군단들의 대거 지원을 받아아죠.
그리고 그 내용들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떤것이 반복되고 어떤 패턴인가
기억해야할 내용들이 어떤 것인가를 따져서 패턴을 파악하는 지각추론 군단의 구원출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내용들을 잘 요리를 하는 작업기억 군단의 구원출전을 받아야 합니다.
최대한 속도를 내면서 빠르게 기억을 해야하니 처리속도 군단의 구원출전을 받아야 하죠.

만약에 내가 100페이지 내용을 기억해야 한다면
저는 무작정 기억을 하지 않습니다.
먼저 언어이해가 출동해서 이것의 정체가 뭔지 구조화합니다.
그리고 일정한 규칙과 패턴을 발견합니다. 그럼 기억이 엄청 용이하거든요..
그 다음에 유추,상상,시각화,언어연상, 조직화 등등을 이용해서 기억 작업을 합니다.
그 과정에 작업기억이 열일을 하겠죠..

100페이지 되는 것중 대지,중지,소지 소제목 ... 그리고 어떤 내용물인가에 따라서
구조화 합니다.. 이것은 흔히 말하는 순수한 기억력이 아니고
다른 영역의 지적 자원을 사용하는겁니다.

즉, 기억력이 나쁜 것이 아니라  다른 지적자원을 활용하는 기술이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적자원을 잘 활용하는 법을 평소 연구하고 연습을 하면 됩니다.
다양한 방법론을 언급하자면 한정된 글로 어떻게 되겠습니까?

정리하면
기억력이란 단일한 요인만 사용해서 어떤 책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과정에 다양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적자원들의 구원출전이 필요하고
거기에 기억전용작업인 연상법,스토리텔링법,이미지구조화등..이런 다양한 방법론들이 있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내용을 충분히 이해를 해야 더 기억을 잘하게 됩니다.
그래서 언어이해력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렇듯 우리의 지능은 단일한것만 있는 것이아니라
서로가 연관되어져 있고 그러면서 고유한 영역들이 존재합니다.
기억할때도 기억력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듯 많은 요인들이 필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07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94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86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42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50
3374 양적추론 무게추론 귀납ㆍ연역ㆍ논리 추론 사고 52초 2 file 궁금증. 2022.11.26 548
3373 양손에 팬들고 공부를하는데요... 3 오만필 2009.12.10 3943
3372 양서의 기준에 대한 생각 및 좋은 글귀 공유 사람 2023.03.05 105
3371 야호! 3 134 2009.07.14 2300
3370 야이큐에~~~~~~~~ 4 이준형 2006.07.07 1654
3369 야이사기꾼아! 18살 아이큐 95?장난? 11 앙리에요 2007.06.22 1996
3368 앱에서 한 IQ 테스트 2 file 신비 2022.05.30 369
3367 앱에 있는 logical iq test 결과(사진 인증) file 신비 2023.02.17 341
3366 애매한 지능구간 70-85 115-130의 특징은 찾기 어렵... 신비 2021.02.23 1248
3365 애매한 IQ로 멘사 테스트 통과 가능한가. 2 file 001 2019.05.31 934
3364 앗써ㅘ 1 ggg 2007.09.09 1600
3363 앗싸130!!! 4 다래 2007.06.22 1963
3362 앗싸! 나 아이큐 126이닷! 1 ♡이뿐사랑♡ 2004.09.02 3540
3361 앗싸 나 10살 7 어떤아이 2007.02.06 2800
3360 앗싸 1 황종현 2008.04.03 1514
3359 앗나 ㅠ 1 반효아 2007.01.23 1581
3358 암흑물질의 정체? 1 file 소닉좌 2023.08.28 268
3357 암호해독 퍼즐 정답 해설[문제 푸는 사람 클릭주의] 6 file 화성인 2023.07.04 383
3356 암호해독 퍼즐 5 file 화성인 2023.07.03 290
3355 암산이 빠르신가요? 2 궁금 2017.11.19 1395
3354 암산으로해야되나요? 2 가나다 2016.02.27 932
3353 암기력이나 기타 기능들이 떨어지는데도 높게 나올 ... 1 blackout 2018.03.15 753
» 암기력,기억력에 대한 오해들 4 화성인 2023.06.09 457
3351 암기력, 기억력은 중요한거 같네요. 평범남 2023.06.04 153
3350 암기력 바닥 1 file 장첸 2023.12.25 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