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   2023.06.09 22:05

암기력,기억력에 대한 오해들

조회 수 457 추천 수 2 댓글 4
Extra Form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억력과 암기력을 아주 평가절하 하는 경향을 많이 봅니다.
아마도 이것은 매스컴의 영향이 큰듯 합니다.
영화에 한번 보면 외우는 주인공, 혹은 서번트들의 놀라운 기억력
그리고 방송같은데 영재들이나 기억법 고수들의 암기력 이런것과 비교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억력,암기력 조금 다른 개념이지만 이번 글에서는 같은 의미로 제가 쓰겠습니다.
기억력(암기력)이란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일단 문장으로 된 텍스트 내용을 기억하는 것으로 좁힙니다.

기억력만 나홀로 독존하는 것이 아닙니다.
서번트들은 다른 것없이 그냥 기억력이 좋고 기억합니다.
서번트는 아니지만 비정상적으로 기억력이 발달한 사람들도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일반지능이 높고 자연스럽게 기억력이 좋은 사람들일겁니다.
수학자 오일러, 파스칼 그리고 존 폰 노이만도 경이적인 기억력 소유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유독 기억력이 너무 발달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사고력이 떨어집니다.
그냥 기억력만 좋습니다.

사실 우리 인간의 두뇌는 범용성을 추구합니다.
특이한 능력을 발현하는것보다 일상생활에 잘 적응 할수있도록 두루 두루 범용성입니다.
범용성이 문제가 발생했는데 알수없는 현상으로 특수 분야에 어떤 초천재도 이기지 못할 능력을 발현합니다.
그것을 우리는 서번트 라고 부르죠.

그러나 보통 사람들은 범용성의 두뇌를 가지고 있고 당연히 두루 두루 두뇌형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학습상황때 특수용도인 기억력을 발현할려면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됩니다.

사람들이 의외로 많이 범하는 것이 기억력을 단일한 요인의 발현으로 만 접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들의 두뇌는 범용성입니다.

그렇다면 답이 나오죠..
우리들은 서번트가 아니기때문에 범용성의 기능을 다각도로 활용해서
기억이라는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역으로 기억력만 발달한 사람들은 범용성 기능에 문제가 보통 발생합니다.
결코 행복한 일은 아닙니다.

만약에 책 100페이지의 내용을 기억해야 할 일이 있다.
보통 기억을 한다는 것은 토씨 하나 하나 그대로 기억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 세상 살면서 그걸 기억한다는 것은 너무 비상식적인 것이고 
누군가 그걸 요구한다면 그 상황이 참 이해가 안되죠.

100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용의 의미와 맥락 그리고 그속에 구체적인 사실을 흐름을 타면서
기억을 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기억을 잘하기 위해서는  다른 자원의 지능군단들의 구원출전이 필요합니다.
문장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 언어이해 군단들의 대거 지원을 받아아죠.
그리고 그 내용들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떤것이 반복되고 어떤 패턴인가
기억해야할 내용들이 어떤 것인가를 따져서 패턴을 파악하는 지각추론 군단의 구원출전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 내용들을 잘 요리를 하는 작업기억 군단의 구원출전을 받아야 합니다.
최대한 속도를 내면서 빠르게 기억을 해야하니 처리속도 군단의 구원출전을 받아야 하죠.

만약에 내가 100페이지 내용을 기억해야 한다면
저는 무작정 기억을 하지 않습니다.
먼저 언어이해가 출동해서 이것의 정체가 뭔지 구조화합니다.
그리고 일정한 규칙과 패턴을 발견합니다. 그럼 기억이 엄청 용이하거든요..
그 다음에 유추,상상,시각화,언어연상, 조직화 등등을 이용해서 기억 작업을 합니다.
그 과정에 작업기억이 열일을 하겠죠..

100페이지 되는 것중 대지,중지,소지 소제목 ... 그리고 어떤 내용물인가에 따라서
구조화 합니다.. 이것은 흔히 말하는 순수한 기억력이 아니고
다른 영역의 지적 자원을 사용하는겁니다.

즉, 기억력이 나쁜 것이 아니라  다른 지적자원을 활용하는 기술이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적자원을 잘 활용하는 법을 평소 연구하고 연습을 하면 됩니다.
다양한 방법론을 언급하자면 한정된 글로 어떻게 되겠습니까?

정리하면
기억력이란 단일한 요인만 사용해서 어떤 책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 과정에 다양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적자원들의 구원출전이 필요하고
거기에 기억전용작업인 연상법,스토리텔링법,이미지구조화등..이런 다양한 방법론들이 있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것은 내용을 충분히 이해를 해야 더 기억을 잘하게 됩니다.
그래서 언어이해력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렇듯 우리의 지능은 단일한것만 있는 것이아니라
서로가 연관되어져 있고 그러면서 고유한 영역들이 존재합니다.
기억할때도 기억력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듯 많은 요인들이 필요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21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17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98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59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65
4202 IQ 테스트 암산 저도 올려봄 11 file 핸드폰 2021.10.02 1216
4201 K-wais5 에 대한 질문 1 Hzhsjsj 2021.09.30 381
4200 신비님 저번에 iq aptitude 자료입니다. 1 file 궁금증. 2021.09.25 258
4199 멘사 노르웨이 2 file 부룽 2021.09.23 514
4198 웩슬러에서 숫자 외우는 건 뭐 검사하는 건가요? 1 익명 2021.09.21 710
4197 수리,언어 143이 나왔는데 낮은건 아니죠?ㅠㅠ (초5) 3 소정 2021.09.19 703
4196 신비님 잘지내시나요, 1 궁금증. 2021.09.19 241
4195 아이큐145이상 3 file 시형 2021.09.18 493
4194 본인 저번보다 아이큐 2 올랐다 5 file ㅋㅋㅋ 2021.09.12 399
4193 20 년 만에다시 해보는데 몇몇 문제는 아예 모르갰... 2 file 머리나쁜놈 2021.09.12 354
4192 이게 맞나요;; file 사람 2021.09.11 281
4191 IQ 130이상이 중요(초시기준) 5 삿갓 2021.09.09 3433
4190 수리/언어에서 아이큐 129 나오면 높은건가요? 2 file Chaewon.H 2021.09.08 809
4189 가장 가치있게 시간을 보낼수있는 활동이 뭘까요 22 이이 2021.09.08 430
4188 멘사 가입 기준이 아이큐 말고 따로 있나요? 1 file Chaewon.H 2021.09.06 490
4187 혁신적인 천재아 낳고 싶어요 일론 머스크같은 7 소피 2021.09.05 1239
4186 모유 먹고 자라신분 진짜 지능이 높으신가요? 1 소피 2021.09.05 330
4185 신비님 잘지내시나요 문제가져왔습니다 . 궁금증. 2021.09.05 253
4184 좌뇌의 중요성 1 익명 2021.09.04 281
4183 안녕하세요 신비님이 최근에 했던 테스트에요 file 익명 2021.09.02 226
4182 김영훈님이 웩슬러 검사를 했다는 증거 언어 2021.09.02 424
4181 운동분야와 지능 사이의 관계 2 EST_11 2021.08.29 443
4180 멘사 아이큐 1 file 박혜원 2021.08.26 403
4179 아이큐 145이상 떳다 8 file 임성규 2021.08.22 940
4178 난독증세는 iq의 수치에 영향을 미칩니까? 2 신비의 아오라 2021.08.22 3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