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02 추천 수 2 댓글 4
Extra Form
IQ 종류 수리/언어/도형
IQ 측정값 128

아이큐 높으신 분은 공부를 어떻게 하시나요? 암기 과목이나 아님 물리 수학과 같은 사고력을 요구하는 과목에 대해서요. 저 같은경우는 그렇게 지능이 높은건 아니지만 초중고등학교때 단어 암기나 외우는건 조금 잘했던것 같아요. 그런데 단어나 암기를 할때 꼭 말로 설명해야해요. 발음을 읽거나.. 그럴때 남들보다 조금 빨리 외우는 것 같았고시험칠 때도 빨리, 정확 하게 잘쳤습니다. 사람들과 대화를 할때도 자연스럽게 리액션을 하면서 그 사람이 한 말을 다시 되새기면 기억에 잘 남더라구요. 사소한 부분을 잘 기억한다는 칭찬을 받기도 해요. 그리고 사례를 더 말씀드리자면 중학교 때 성적이 그렇게 높지 않았다가 2학년때 아까말한 방법으로 '말하면서 논리적으로 설명하면서 혼자 중얼거리며 공부하니' 성적이 130등 높아져 부모님을 놀라게 했어요. 다시 고등학교 때는 야자에 잡혀 제 공부법대로(말할 수가 없으니... 그렇게하면 이상한 애 취급만 받겠죠) 할 수가 없으니 자신감도 떨어지고 성적도 떨어지고 학교다니는 내내방황했구요. 대신에 수학에 흥미를 느껴 수학 성적은 괜찮게 나왔습니다.(사고하는 과목을 좋아 것 같습니다.) 문과에서 공대로 교차지원해서 망친 수능 대신해 괜찮은 학교로 편입했구요.

 

 그런데 진짜 중요한건 제가 대화나 타이핑을 하면서 암기를 하는것이(감각적으로) 과연 기억력하고 관련이 되어있는지 궁금하네요  머리가 좋다고 하는 분들은 모두 한눈으로 보고 기억하시는 정도로 대단하신것 같은데 저는 딱히 암기 할때 규칙성을찾는 것이 아닌 그냥 기억하는 것은 쉽지 않더라구요.(학교 지능검사에서는 기억력이 괜찮게 나오긴 했네요.)

 저의 큰 고민은 이렇게 감각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남들한테는 피해가 된다는 것입니다. 요란하니까요. 뭐 수학과같은 사고하는 학문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무언가 암기를 할때는요..


 똑똑한 여러분들은 어떻게 공부하시나요?


  • 공부의신 2017.06.08 10:56


    공부에는 왕도가 없듯이,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위 내용을 읽어보니 답이 이미 나와 있는 것 같군요. 제일 중요한 것이 이해하고 남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되는데, 이 방법을 중학교 때 사용하였다니 어느 정도 방법은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머리 좋은 사람의 공부 방법에서는 도움을 찾을 방법이 없을 것입니다. 너무 게으러서? 한번 본 것은 되도록 안 보려고 하니, 차라리 머리가 나빠  여러 번 본 사람보다 성적 등이 나빠 질수 있는 것입니다.


    친구를 한번 보고 자기 친구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계속 만나고 하여 서로 잘 알 때 친구라고 말할 수 있는 것처럼, 책도 한번 봤다고 잘 안다고 말할 수 없고, 여러 번 보고 또 보고하여 완전히 이해할 때 잘 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공부는 습관인 같습니다.


    수업시간에 집중하여 잘 듣고, 필기와 정리를 잘하면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생략하고 암기하는 사람과 앞 과정을 거쳐 암기하는 사람의 차이가 나타날 것입니다.


    암기과목은 이해하여 남에게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일 때 암기가 완성되며, 물리 수학 같은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는 자신감입니다. 


    자신감을 갖기 위해 시험 치기 전에 수많은 연습문제를 많이 풀어 봐야 합니다. 운동경기에서도 자신감은  땀과 눈물을 흘린 혹독한 훈련 후에 자신감이 생기듯이, 자신감이 없으면 경기에서 지고 들어가는 것입니다.


    문제를 풀고 못 풀고의 차이점은 자신감에서 오며, 문제를 보고 자신감이 있으면 손을 대고, 자신감이 없으면 머리에 마비가 와서 문제지가 하얗게 보일 것입니다.


    물리 수학 과목 같은 경우, 배운 범위내에서는 몇 개 되지 않는 공식이 있습니다. 이 공식을 먼저 떠 올려 문제를 풀며, 연습 풀이를 많이 했으면 예상문제가 나올 수도 있을 것입니다.



     

     

     

     

     

  • 궁금 2017.06.08 12:17

    역시 공부하는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군요!ㅎㅎ신경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ㅁㄴㅇㄻ 2017.08.17 06:22

    그냥 하고싶으면 하고 하기싫으면 안하는거죠(내신 5등급)

  • 초딩 2021.05.24 21:31
    저 131인데 그냥 일반적으로 하는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62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78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47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911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81
5185 지능 때문에 너무 괴로운데 조언 좀요 4 file 1 2023.08.23 581
5184 High iq test 1 궁금이 2023.08.22 314
5183 저정도면 어떤 지능인가요? 7 file 사람 2023.08.22 619
5182 영재의 등급 17 화성인 2023.08.21 954
5181 몇번 틀렸는지 궁금해요 3 file 잘재 2023.08.20 484
5180 이 결과는 어떻게 해석해야 되나요? file tuyhxyh, 2023.08.20 252
5179 머리는 쓸만한거 같은데 1 file 브릴리언 2023.08.20 325
5178 개인적으로 iq가 가지는 한계점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1 file 블루 2023.08.19 334
5177 나이를 잘못 기입했는데... 3 file Jh 2023.08.16 378
5176 아이큐와 기억력의 관계 2 아재 2023.08.15 407
5175 142면 몇 개 틀린건가요? 4 file . 2023.08.15 617
5174 사고 실험에 대한 썰 6 재구성 2023.08.14 247
5173 고지능자에 대해 검색해보다 여기까지 왔는데 5 file 슬픈개구리 2023.08.14 1555
5172 글을 써보니 8 화성인 2023.08.11 328
5171 유독 특정 검사에서 아이큐가 높은 경우는 뭘까요? 5 감자 2023.08.10 361
5170 아이큐 142 1 file 코딩재미있어 2023.08.08 399
5169 내 소개 2 file Constant 2023.08.08 251
5168 갑자기 떠오른 창작 문제 4 에너지 2023.08.06 227
5167 재미있는 실험 느낌가는 대로 선택해보세요. 12 화성인 2023.08.05 426
5166 아이큐 130 2 file ㅣㅣ 2023.08.05 410
5165 iqmentor 결과 1 file 에너지 2023.08.04 543
5164 이정도면 좋은건가.... 천재인거 같기도하고 보통인... 3 Iqqqqqqqqq 2023.08.01 650
5163 [답변] 마이너스 질량에 관한 에피소드 화성인 2023.07.30 179
5162 마이너스 질량? 화성인바이러스 2023.07.30 176
5161 개념적 사고를 하는 Ai가 대중보급이 불가능할거라 ... 1 file 소닉좌 2023.07.29 1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