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IQ 종류 수리/언어/도형
IQ 측정값 130+
※ 아이큐 인증 사진 첨부 필수

이종과 이성에 대해서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동종과 동성에 대해서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물론, 뇌의 크기가 클수록 지능이 높을 가능성이 클 뿐, 크다고 지능이 높다고 할 수는 없다.

뇌백질은 각 영역을 담당하는 뇌의 기능을 연결하고, 두께에 따라서 무관한 영역을 연결한다. 그로인해 창의성에서 뛰어남을 보일 수 있다.

뇌주름이 많을 수록 정보를 많이 보관하고, 뇌주름이 많은수록 대뇌피질이 두꺼우므로 똑똑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뇌주름이 많을수록 뇌를 활용 잘한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운동을 하게되면 신경세포의 수가 늘어나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뇌는 쓰면 쓸수록 커진다. => 뇌의 크기와 지능의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판단하면 지능이 상승한다.

성장기에 급격하게 뇌의 크기가 성장하고, 50~60대에 감소하는 형태를 주로 보인다. 또한, 보통 68세를 기점으로 빠르게 수축한다.

편도체가 클수록 겁이 많고, 작을수록 겁이 없다.

시상하부가 클수록 공격성을 띈다.

결론 : 뇌는 많은 것을 설명하지만,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않는다.

* 전두엽 : 상황판단 담당
* 뇌량 : 좌뇌와 우뇌 연결 
* 두정엽 : 계산능력 담당
* 해마 : 기억력 담당
* 편도체 : 공포와 불안을 담당
* 시상하부 : 공격격성과 호르몬 조절 역할

  • 신비 2022.03.28 11:55
    뇌가 크는것보다는 뉴런의 수와 대뇌피질에 따라 정해졌어요. 흰수염 고래는 뇌가 가장 크지만 지능이 범고래보다 낮아요. 연예인들은 머리가 작지만 똑똑하고요
  • 하늘 2022.03.28 12:01
    이종과 이성에 대해서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초두에 있었고, 기재했습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Sdf 2022.03.28 13:41
    찾아보니까 대략 2%정도를 설명할 수 있다고 되어있네요. 다만 조사 대상에 더 많은 사람을 포함할수록 그 상관관계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는 몇 가지 가설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군요.
    1. 데이터의 다양화는 개입되는 변수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단일 변수의 영향력은 이전에 비해 감소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2. 두뇌 크기는 지능 관련 유전자의 부가적인 표현형일 수 있습니다. 이는 다리 근육량과 손의 악력이 무조건적으로 비례하지 않는 현상과 비슷합니다.
  • 하늘 2022.03.28 14:23
    아하 생각보다 비중이 낮게 나타나네요.
    1. 그렇죠. 변수가 늘어나기도 하고, 영향력을 늘리거나 줄여주는 매개효과가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타당성이 떨어지죠. 과연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는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 팔근육과 악력의 예를 들어주신건가요? 다리근육과 악력이야기는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네요. 팔근육과 악력의 이야기면 손이 클수록 악력이 강하다고는 말할 수는 없겠지만, 손이 클수록 악력이 강할 확률이 높은 것과 유사해 보입니다. 또한, 비교를 해서 드러나는 현상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렇다보니 절대적인 파악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봅니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인간의 뇌의 한계를 측정할 수도 없고, 추정치에 불과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귀납적인 추론에 의존할 수 없다보니 지속적으로 변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의견감사합니다.
  • Sdf 2022.03.28 15:12
    2. 덧붙이자면 이는 이종과 이성 간에는 성립하지 않지만 동종 동성의 경우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였습니다. 특정 요소가 보여주는 여러 함의들에 대한 경우면 전부 비슷한 맥락을 공유할 수 있겠죠.
    예를 들어 다른 영역의 소검사별 상관계수를 분석할 때 무작위 표본보다는 비슷한 성향을 가진 그룹끼리 분류하였을 경우 더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일 것입니다.
  • 하늘 2022.03.28 15:23
    그런의미였군요. 맞습니다. 유사한 성향을 가진 그룹에서 분류하면 상관관계로 추론될 수 있는 사항이 많을 수 있지만, 오히려 넓게보면 상관관계를 입증을 방해할 수도 있죠.

    의견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13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02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9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51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57
4426 어릴 때 IQ 테스트해보고 1 학생 2022.05.02 375
4425 장기기억에 대한 근본적 이해(기억력 향상법) 2 재구성 2023.03.19 375
4424 전 암기력 좋습니다 7 file 신비 2023.05.23 375
4423 저도 아이큐 테스트 결과입니다 2 file 변증법 2023.04.25 375
4422 유동지능 향상에 대해 아시는게 있다면 글쓴이 2020.02.17 376
4421 다들 어떤 성향을 갖고 계신가요? 3 ABC 2023.03.19 376
4420 유전자와 IQ의 관계(대략 5월쯤 AI와 이야기 한 내... 2 file 화성인 2023.09.18 376
4419 아이큐 집착의 끝은 병입니다 3 신비 2021.05.06 377
4418 내가 했던 테스트 결과들 4 file 변증법 2023.04.08 377
4417 도형 아이큐 결과 1 file 멘사유형 2020.03.26 378
4416 뉴론테스트 받은 소감 2 file 화성인 2021.05.04 378
4415 arealme 지리 테스트 2 file 브이로거_Yul 2022.05.28 378
4414 나이를 잘못 기입했는데... 3 file Jh 2023.08.16 378
4413 천재와 조숙 나무위키 참조 1 신비 2021.06.16 380
4412 첫 번째는 다 못 풀어서 시간제한으로 결과를 알 수... 1 vk 2020.03.06 380
4411 시험을 추론으로 풀어보신 분 있나요 3 file ㅇㅅㅇ 2021.12.17 380
4410 2016에 했던 초고도지능 테스트 3 file 신비 2023.03.01 380
4409 멀티측정이 실제 지능에 가까운 이유 3 화성인 2023.09.13 380
4408 귀신을 보는 사람이 생기는 이유에 대한 생각 2 file 소닉좌 2023.09.15 380
4407 K-wais5 에 대한 질문 1 Hzhsjsj 2021.09.30 381
4406 나 천잰듯 (145이상) 1 file 펀텔후스크의 뇌절연구소 2022.04.19 381
4405 Grail Society에 가입할 미래의 정회원(IQ200) 19 grail200 2022.04.20 382
4404 언어 극복 쌉가능? 1 수학 쌉벌레 2020.02.05 382
4403 14살인데 1 file 14살 잼민이 2020.09.29 382
4402 궁금증.님이 참고하시라는 의미로 올립니다. 6 file 화성인 2023.02.26 3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