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   2022.04.16 23:39

WAIS 최강의 검사 종목들

조회 수 660 추천 수 0 댓글 9
Extra Form
산수
숫자 
상식
어휘
일반지능과의 상관이 가장 높은 검사들입니다. 
여기서 눈여겨 볼건 작업기억과 언어이해가 가장 상관이 높은데 구 언어성 항목들입니다.
언어이해중 가장 중요한 종목인것처럼 보이는"공통성"이 상위랭커에 없고
많은 네티즌들이 가장 지능을 대표한다고 여겨지는 "행추"도 없다는 사실
정말 쓸모없고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상식"이 상식밖으로 최상위 랭커에 포진 하고있다는 사실

반전인것이 많은 네티즌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검사들이
실제 일반지능과의 상관이 가장 높게 나온다는 사실입니다.
논문을 본 저역시 당시엔 상당히 의외였고 믿기질 않았지요.
저는 혹시 연구가 잘못 된 것이 아닐까 믿어지지 않다가
후속 논문을 봐도 거의 비슷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보고 참 놀라워한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수학점수와의 상관이 지각추론 보다 언어이해가 더 높다는 사실입니다.
SAT 등 거의 전 분야에서 지각추론이 아닌 언어이해의 점수가 학습예측과의 상관이 일관되게 높고
일반지능과의 상관이 높게 나온다는 사실 많이 의외였습니다.

여기서 오해 하지 말아야 할것은 지각추론이 무쓸모다 라는 것이 아닙니다.
비교우위로 볼때 무게 축이 예상외로 언어 쪽이란 것입니다. 지각추론도 매우 중요한 능력입니다.

유명한 학습코칭 전문가의 말을 빌리면
문해력을 개발시키니 수학점수가 오르더랍니다.
정말 의외죠?
소설을 읽고 스토리를 잘 이해하는 사람이 수학을 잘하는것에 유리하다는 것이죠.

저의 주관적인 결론  실질적인 일반지능을 다소나마 높힐려면 도형추리를 푸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깊이있게 하는 독서""가 좋다는 것

  • J 2022.04.17 10:08
    깊은 생각을 요하는 사고력 퀴즈 같은 것들도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해요.
  • 화성인 2022.04.17 12:43
    네 .. 
  • ㅇㅋㅇㄱ 2022.04.17 14:34
    나머지는 평범한데 공통성만 높은 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 화성인 2022.04.17 15:03
    공통성도 상관도가 제법 높습니다. 상식,어휘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의미일뿐
    일반지능(G)와 지능지수 IQ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그 지적자원중 일반지능G요인이 얼마나 작용하는가 입니다.
    설명을 디테일하게 하자면 너무 깁니다.|
    공통성은 사물의 본질과 비본질을 구분하는 능력을 보고 결정성 지능과 유동추론을 다 보는 검사입니다.
    이런쪽의 능력이 높다는 것입니다.  일단 이렇게 마무리 하겠습니다.
  • 홍시 2022.04.17 21:11
    일반지능이란게 어떤 의미인가요?
  • 화성인 2022.04.17 22:40
    이해 하기 쉽도록 제가 일반지능 이란 단어를 사용했지만 일반인지능력(G)를 의미하고 지능검사와 다르게
    최상위계층에 있는 생물학적, 유전적 비심리측정적인 것들입니다. 지능의 일반요인이라고도 합니다.
    이론적인 것입니다. 지능지수는 지능검사에 의해서 측정되어지는 상대평가값들이지요.
    그러나 일반요인은 모든 것에 공통적으로 개입하는 이론적 지능을 의미합니다.
    어렵죠? 이와 관련된 글을 여기 쓸려면 한참 장문의 글을 몇차례 써야 됩니다.
    그래서 제가 간단히 일반지능 이란 단어를 사용했구요.
    쉽게 정리하면 지능검사배터리를 구성하는 것들을 푸는 인간의 정신능력의 공통적인 요인 이라고 보시면 될겁니다. 그것이 고차원적 사고를 할때 많이 개입을 한다라고 직관적으로 생각을 하지만 실제론 의외로 아무것도 아닌 검사들이 더 강력하게 일반요인(G)의 개입이 더 많다는 것이죠.
    다시 정리하면 모든 것에 공통으로 개입되는 최상위계층의 능력을 말합니다.
  • 일반지능 2022.04.18 09:11
    일반지능은 인간의 능력에 모든 기반이 되는것. 그 이름 일반처럼 일반적으로 잘 설명해 주고 있는 개념이며, 일반지능이 높은 사람은 일반적으로 뭔가 한가지를 잘하면 다른것도 잘 할수 있다는 것. 예로 수학을 잘하면 다른 과목도 잘하고, 영어를 잘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언어도 잘할 수 있다는 것.
  • 신비 2022.04.18 20:06
    맞아요
  • 유동성지능과 결정성지능 2022.04.18 09:34
    카텔은 일반지능(G)을 유전적으로 좌우되는 유동성지능(Fluid intelligence : Gf)과 문화적 경험적요인의 영향을 받는 결정성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 : Gc)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
    유동성지능(Gf)은 도형추리, 귀납, 일반추리 등과 같은 지각능력에 의해 측정되고, 결정성지능(Gc)은 교육과 경험의 축적에 의해 측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190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78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72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32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40
3745 IQ테스트 푸는 시간도 중요하죠? 1 ㄱㄷ 2020.12.18 704
3744 생각전략은 지능에 포함하나요? 심심 2020.12.18 149
3743 아이큐는 바뀔수 없어요 유전 2020.12.18 389
3742 아이큐 70이랑 130의 차이는 정확할까요? 4 130 2020.12.17 1067
3741 평균 150.6, 표준편차 13.5, 전체인원 2192명이면 ... 5 clavicle 2020.12.16 944
3740 지능지수는 몇점까지 높힐수 있나요? 9 수학자 2020.12.16 826
3739 아이큐 156 멘사회원 배우 지일주 1 file 용루각 2020.12.15 849
3738 지능 160와 100의 습득력 차이(sd15) 3 120 2020.12.13 1128
3737 동작성 지능이 높고 언어성 지능이 낮거나 반대로 ... 언어 2020.12.13 2430
3736 아이큐 헤븐 2 file 앙앙 2020.12.12 328
3735 숫자 7 8 9개 순차로 외울때 백분위가 어떻게 되나요? 5 백분위 2020.12.12 352
3734 지능 100 120 140 160의 차이 3 2020.12.11 7291
3733 아이큐와 다국어 능력 6 언어 2020.12.11 721
3732 IQ에 걸맞는 능력과 직업/진로 이거 맞나요? 4 HYPSMC 2020.12.11 3003
3731 MIT나 칼텍 학생들이 웩 검사 받으면 IQ 몇 정도 나... 4 HYPSMC 2020.12.11 3324
3730 똑똑한 사람일수록 더 합리적인가요? 3 2020.12.10 355
3729 작업기억와 언어의 관계 1 145+ 2020.12.09 253
3728 Phd와 지능지수 1 2020.12.09 226
3727 지능와 식습관 6 2020.12.07 333
3726 작곡가들은 왜 똑똑하나요? 4 작곡가 2020.12.06 566
3725 님들의 기억력 수준은 어떻게 되나요? 4 145+ 2020.12.06 616
3724 지능은 최대 몇점까지 올릴수 있을까요? 7 145+ 2020.12.06 470
3723 숫자외우기 검사에 9개 순차 8개 역차는 다 외었는... 1 145+ 2020.12.06 522
3722 가짜들 사이에서 진짜들은 어떻게 행동하는가 7 lichard 2020.12.05 704
3721 고지능단체 설립 미울 2020.12.02 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