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   2022.11.24 05:31

문제가 이상합니다

조회 수 337 추천 수 0 댓글 8
Extra Form
IQ 종류 수리언어도형
IQ 측정값 134
만 28세 측정결과 입니다.

문제가 중간에 이상한게 많네요? 명확한 기준이 없어 대입 될 수 있는 논리? 가 너무 많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문제는 56번이었나?(아침밥 안먹었습니다) 그쯤에 

햄,
치킨,
생선,
삼겹살,
불고기

가 있는데 분류법이 너무 많습니다.

육지, 붉은,
육지, 붉은,
바다, 흰&붉은
육지, 붉은
육지, 붉은

가 있고

굽기,
튀기기,
굽기,
굽기,
굽기

가 있고

공장,
자연,
자연,
자연,
자연,

과 같이 한 문제에서 다수의 맞는 논리가 등장하는 이상한 문제가 중간에 몇개 보였습니다.

  • 란란루 2022.11.24 16:09
    나열된 단어들 사이의 본질적인 공통성을 찾아내는 문제 같습니다. 웩슬러 테스트로 예를 들면 사마귀와 곰의 공통점 중 하나는 ’다리가 있다‘ 는 것이지만, 본질적인 공통성은 ’동물‘ 인 것처럼요.
  • 백수 2022.11.25 04:34
    물론, 요소들을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의 기준을 대중적인 인식으로 접근한다면, 많은 사람의 수가 정답으로 고를만한 생선이 정답이겠지만,
    재료로써 접근한다면, 가공 재료이냐, 미가공 재료이냐 라는 관점이 하나 더 생깁니다.
    따라서 저는 란란루 님이 의미하고자 하시는 바 만 고려되어 있는 현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가 접근하는 문제에는 명확하게 '가장 대중적인 답안을 고르시오' 와 같은 추가적인 설명이 첨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하늘 2022.11.24 21:54
    해당 질문에 대해서 스스로 답을 하셨겠지만, 저는 해당 단어의 그 본질을 본다면 후술하신 내용이 정답이 아닌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백수 2022.11.25 04:37
    윗 분에게 말씀 드린 것과 같이, 본질로써 접근법을 해결하고자 하면 관점의 방향성이 생겨버린다는 문제가 등장합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문에 명확한 설명이 덧붙여져야 한다고 생각 됩니다.
  • 하늘 2022.11.26 11:32
    저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객관식이나 단답식이 아니라 그 근거를 후술해야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능의 천장이 생기기 마련이니까요. 물론 단답식을 피해 후술해야하는 서술식이 되더라도 답의 기준을 뭘로 평가할지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생길거라고 보긴합니다.
  • 백수 2022.11.26 13:41
    무언가 의미전달이 잘못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뜻하는 바는 객관식 서술식 문제가 아닌, 현 56번 문제(닭, 햄 문제) 상태에서 개선해야될 사항이 보인다 입니다.
  • 사람 2022.11.26 01:50
    다양한 관점이 생기는 건 맞는데 4가지의 공통점을 추려보면 육류라는 결과만 도출되는 것 같습니다.
    굽기, 튀기기는 모두 가능한 조리법이니 절대적인 잣대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이고
    공장, 자연도 하림이라는 닭고기 가공 공장이라는 반례가 있습니다.
    육류 vs 어류가 가장 확실한 구분기준으로 보입니다.
  • 백수 2022.11.26 13:51
    햄은 가공한 보존 식품입니다.
    말씀 하신 하림 닭고기 가공 공장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손질된 닭고기 입니다.

    육류 VS 어류 가 제일 보편적인 답안이 맞으나, 현재는 이를 명시하지 않아 문제의 헛점이 생겨 이를 해결하고자, '가장 대중적인 답안을 고르시오' 를 추가적으로 명시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는 글입니다.

    현재 지문은 맞추라고만 했지, 보편적인 답안을 내놓으시오 라고 적혀지 있지 않습니다.

    이와 비슷한 문제로 문제의 번호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문제의 보기 요소가 [??, 철, 금, 황동, ??] 이러하게 구성되어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도 [금속, 금속, 귀금속, 금속, 금속] 과 [금속, 금속, 금속, 합금, 금속] 과 같이, 다수의 관점이 등장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의견이 틀리다고 주장하는게 아닌, 현 상황에는 다양한 논점이 생길 여지가 다분하여 이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문제의 보기 요소를 고치는 방법도 있으나, 이 또한 새로운 문제점을 탄생 시킬 가능성이 높아 지문에 명확히 명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198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86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77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35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46
4596 14살(만12살)에 128 1 14살 2010.11.12 3941
4595 아이큐유~ 1 ADFSDA 2010.10.12 3941
4594 양손에 팬들고 공부를하는데요... 3 오만필 2009.12.10 3939
4593 수리언어도형 아이큐 127 1 AH 2013.05.29 3938
4592 3학년인데 IQ 120이면 높은건가요? 1 이창현 2018.12.16 3931
4591 잘 나온 건가요? 1 조나단 2013.03.20 3925
4590 128 나왔네요 도형(멘사유형) 1 26살 2012.01.06 3925
4589 으흠...여기나온 대로라면... 저는 원숭이군요 3 노땅수험생 2005.02.01 3925
4588 이정도는 괞찮은걸가요? 1 이의섭 2012.12.19 3920
4587 ㅠㅠ 나 망했음 아이큐 119야 5 누워서똥사 2009.06.29 3919
4586 제 아이큐 봐주세용 1 쩡혀니마옹 2010.06.01 3912
4585 중2인데요ㅎ 5 오오 2009.11.11 3910
4584 중1이에요ㅎ 3 중일요 2012.01.06 3909
4583 만 13세인데.. 1 외계인 2010.11.18 3909
4582 아이큐 131이면 어느정도인가요? 1 file 지나가는사람 2020.01.02 3908
4581 이정도면? 2 2010.03.24 3905
4580 1 ㅇㅇ 2010.08.24 3904
4579 아이큐 135 4 맛있는사과 2021.02.20 3903
4578 아...아이큐가110이라니 1 asd 2009.09.13 3902
4577 아이큐 수리/도형 2 치즈샤인 2010.06.13 3892
4576 수리도형 132 나오네영 2 KSY 2010.03.06 3889
4575 수리도형 아이큐 2 강기호 2010.04.17 3888
4574 아이큐가마니떨어졋네..ㅎㅎ 1 2010.03.14 3888
4573 5학년에 112며능?? 4 누굴까 2009.09.19 3883
4572 여기잇는사람들 3 손강민 2011.01.16 38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