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   2022.11.24 05:31

문제가 이상합니다

조회 수 337 추천 수 0 댓글 8
Extra Form
IQ 종류 수리언어도형
IQ 측정값 134
만 28세 측정결과 입니다.

문제가 중간에 이상한게 많네요? 명확한 기준이 없어 대입 될 수 있는 논리? 가 너무 많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문제는 56번이었나?(아침밥 안먹었습니다) 그쯤에 

햄,
치킨,
생선,
삼겹살,
불고기

가 있는데 분류법이 너무 많습니다.

육지, 붉은,
육지, 붉은,
바다, 흰&붉은
육지, 붉은
육지, 붉은

가 있고

굽기,
튀기기,
굽기,
굽기,
굽기

가 있고

공장,
자연,
자연,
자연,
자연,

과 같이 한 문제에서 다수의 맞는 논리가 등장하는 이상한 문제가 중간에 몇개 보였습니다.

  • 란란루 2022.11.24 16:09
    나열된 단어들 사이의 본질적인 공통성을 찾아내는 문제 같습니다. 웩슬러 테스트로 예를 들면 사마귀와 곰의 공통점 중 하나는 ’다리가 있다‘ 는 것이지만, 본질적인 공통성은 ’동물‘ 인 것처럼요.
  • 백수 2022.11.25 04:34
    물론, 요소들을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의 기준을 대중적인 인식으로 접근한다면, 많은 사람의 수가 정답으로 고를만한 생선이 정답이겠지만,
    재료로써 접근한다면, 가공 재료이냐, 미가공 재료이냐 라는 관점이 하나 더 생깁니다.
    따라서 저는 란란루 님이 의미하고자 하시는 바 만 고려되어 있는 현 상태에서, 불특정 다수가 접근하는 문제에는 명확하게 '가장 대중적인 답안을 고르시오' 와 같은 추가적인 설명이 첨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하늘 2022.11.24 21:54
    해당 질문에 대해서 스스로 답을 하셨겠지만, 저는 해당 단어의 그 본질을 본다면 후술하신 내용이 정답이 아닌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백수 2022.11.25 04:37
    윗 분에게 말씀 드린 것과 같이, 본질로써 접근법을 해결하고자 하면 관점의 방향성이 생겨버린다는 문제가 등장합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문에 명확한 설명이 덧붙여져야 한다고 생각 됩니다.
  • 하늘 2022.11.26 11:32
    저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객관식이나 단답식이 아니라 그 근거를 후술해야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능의 천장이 생기기 마련이니까요. 물론 단답식을 피해 후술해야하는 서술식이 되더라도 답의 기준을 뭘로 평가할지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생길거라고 보긴합니다.
  • 백수 2022.11.26 13:41
    무언가 의미전달이 잘못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뜻하는 바는 객관식 서술식 문제가 아닌, 현 56번 문제(닭, 햄 문제) 상태에서 개선해야될 사항이 보인다 입니다.
  • 사람 2022.11.26 01:50
    다양한 관점이 생기는 건 맞는데 4가지의 공통점을 추려보면 육류라는 결과만 도출되는 것 같습니다.
    굽기, 튀기기는 모두 가능한 조리법이니 절대적인 잣대로 적합하지 않다고 보이고
    공장, 자연도 하림이라는 닭고기 가공 공장이라는 반례가 있습니다.
    육류 vs 어류가 가장 확실한 구분기준으로 보입니다.
  • 백수 2022.11.26 13:51
    햄은 가공한 보존 식품입니다.
    말씀 하신 하림 닭고기 가공 공장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손질된 닭고기 입니다.

    육류 VS 어류 가 제일 보편적인 답안이 맞으나, 현재는 이를 명시하지 않아 문제의 헛점이 생겨 이를 해결하고자, '가장 대중적인 답안을 고르시오' 를 추가적으로 명시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는 글입니다.

    현재 지문은 맞추라고만 했지, 보편적인 답안을 내놓으시오 라고 적혀지 있지 않습니다.

    이와 비슷한 문제로 문제의 번호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문제의 보기 요소가 [??, 철, 금, 황동, ??] 이러하게 구성되어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도 [금속, 금속, 귀금속, 금속, 금속] 과 [금속, 금속, 금속, 합금, 금속] 과 같이, 다수의 관점이 등장합니다.

    저는 여러분의 의견이 틀리다고 주장하는게 아닌, 현 상황에는 다양한 논점이 생길 여지가 다분하여 이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문제의 보기 요소를 고치는 방법도 있으나, 이 또한 새로운 문제점을 탄생 시킬 가능성이 높아 지문에 명확히 명시하는 쪽으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194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85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76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35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44
3271 초등학교 6학년 학생입니다(곧 졸업) 5 곧 졸업하는 6학년 2018.11.22 882
3270 아이큐 수능 3 ㅇㅅㅇ 2018.11.18 1117
3269 iq 132 멘사시험 치기전? 고민중이에요 1 헤이헤이 2018.11.15 1708
3268 멘사 테스트 결과 file 멘사아이큐 2018.11.14 1077
3267 고지능자 커플이나 부부 있음? 5 지나가던 2018.11.14 5815
3266 이시험으로 낼수있는최대아이큐가 얼마인가요?? 공돌이 2018.11.13 858
3265 IQ 기록용 1 Woden 2018.11.11 470
3264 IQ 질문 1 굥뷰 2018.11.09 346
3263 [수리/언어/도형] 아이큐 130 ㅍㅌㅊ? 대전도시철도 2018.11.05 946
3262 기억력의 비밀- 당신도 기억력 천재가 될 수 있다. file 로즈마리 2018.11.05 1676
3261 만 26세때 iq 검사해서 123 나오니까 기분 좋네요 1 123 2018.11.05 870
3260 아이큐145이상인데 왜 공부는 못하죠? 3 신승주 2018.11.03 1841
3259 동양인은 정말 어딘가 창의력에서 서양인에 비해 열... 2 Baek 2018.10.22 1224
3258 교수는 아이큐가 어느 정도 되나요? 2 InPixel 2018.10.14 4795
3257 도형 유형의 테스트가 실제 멘사의 테스트 유형과 ... 1 file ㅇㅇ 2018.10.07 1046
3256 저는 멍청한걸까요? 3 체흐 2018.10.06 1334
3255 궁금한게 있습니다 3 하핳 2018.10.03 399
3254 철도적성검사 정확한가요? 1 115 2018.09.29 690
3253 생활속의 IQ 7 file 아이큐 2018.09.24 1135
3252 우뇌가 너무 약한데 어찌해야할지 2 ㅇㅇ 2018.09.10 810
3251 왜 이런가요? 1 tres bien 2018.09.08 611
3250 웩슬러 검사 분석좀 해주세요... 1 아이엠닭노스 2018.08.30 3652
3249 IQ는 학습능력과 크게 상관 없는 것 같습니다. 7 ㅁㄴㅇㄹ 2018.08.28 1703
3248 SD24기준 IQ161 만15남입니다. 6 ㅇㅁㄴ 2018.08.20 2177
3247 아이큐 표편15에서 130나왔네요 dlgks7357 2018.08.20 8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