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   2022.11.29 00:04

월드컵

조회 수 283 추천 수 8 댓글 3
Extra Form
지금  글 하나 남깁니다.
미리 말하기엔 그래서 침묵했다가 이젠 뚜껑을 열었으니 말합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는 가나 축구에 약했습니다.
그게 늘 걱정이었죠.
골은 많이 터집니다. 
초반에 실점후에 따라잡는 모양새에서 결국 힘이 부딪히는 ... 
이번엔 좀 달랐으면 하고 보다가 초반 2실점이 너무 뻐아픕니다.
하지만 우리 국대 선수들의 투혼이 보여서 눈물이 납니다.
일본 사우디 스타일은 남미,아프리카 가나 스타일에 전통적으로 강했습니다.
이 두나라는 과거 독일 잉글랜드식의 힘으로 눌러버리는 축구엔 상당히 약했습니다.
물론 과거의 기록일뿐 현재는 모르겠습니다.

축구는 참 재미난것이 골로 승패를 가리지만 골 차이가 실력차이와 꼭 일치하진 않는다는 것입니다.
3골 4골의 실력차이가 있지만 1골로 승패가 나기도 하고
비등한 실력인데 그날 그 경기에선 3대1 3대0으로 지기도 하는게 축구입니다.
사실 리그를 해서 전체 경기력을 보는것이 그 팀의 진짜 실력일겁니다.

만약에 매년 월드컵을 프로리그 처럼 해서 우승국을 가린다면
브라질이 훨씬 더 많이 우승했을 것 같아요.
확실히 브라질은 자원도 풍부하고 8대2경기를 하다가 지기도 하지만
그정도 실력이면 리그를 한다면 확실히 승률에서 앞서거든요.

그리고 축구가 골로 승패를 가리다 보니 진짜 골결정력이 중요한데
이게 하루 아침에 나오질 않고 어린시절 잔디에서 놀고 축구 기본기가 탄탄할때 나옵니다.
그리고 공간을 이해하는 축구지능이 필요하죠.

80-90년대에 저는 축구를 전체로만 판단하지 말고 부분적으로 봐서
기본 드리블을 보는 대회도 하고 세트플레이  슈팅대결 
유소년 시절엔 경기를 해서 승패를 가리고 4강에게 혜택을 주고 그런것 말고
자주 경기를 치르게 하고 승패는 반정도 가중값을 두고 경기를 풀어나가는 점수
기본기 점수  예술성 등.. 이런 종합적인 판단을 해서 
가장 아름다운팀 선정, 발전가능성 팀 선정, 가장 우수한팀 선정등
이런 다양한 방식을 유소년기엔 도입을 했음 좋겠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그리고 승패는 고등학생 이후부터 진짜 승패만 가리는 축구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회식도 필요하지만 지역 고등팀 리그를 해서 경기를 자주 많이 가지게 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물론 아무런 이름값도 없는 한 팬의 망상적인 생각이었지요.
그외 평등관계 경기중 반말 허용, 전술 이해력 검사도 해서 축구만 하질 말고 축구지능을 올리는 프로그램도입
이런 많은 생각들을 했습니다.
그리고 축구공보다 작은 공을 이용해서 미니축구도 자주하고.. 
작은공을 사용하면 볼 컨트롤이 더 정교해져야 하거든요.. 
그냥 대회해서 4강 팀에게만 혜택을 주고 이러다보니 그냥 이기기 위해서만 축구를 합니다.
지금은 과거보다 많이 달라졌다고 봅니다만.. 아직 이런 제도가 없습니다.

아무튼 비록 지더라도 우리 국대들 박수쳐주며 칭찬해줍시다..
최선을 다하는 그들은 아름답습니다..
화이팅...!!

  • PARIS 2022.11.29 00:19
    그냥 시작할때부터 +90%로 지겠구나 알고있었어요. 여론을 보니까 벤투가 잘못했다. 테일러 주심이 이상하다. 이상한 개돼지같은 소리가 많은데. 누구의 잘못도 없고, 이게 최선입니다. 그냥 유전자가 달라서 질 수 밖에 없어요. 흑인이 바둑 대회에서 우승하는 꼴봤나요?
  • 화성인 2022.11.29 01:14
    우리나라가 축구 인프라에 비해서 선수들의 실력이 엄청 높습니다.
    한국인의 유전자엔 축구유전자가 있습니다. 물론 양궁처럼 압도적이진 않지만..
    그래서 저는 한국 축구인프라가 참 부족하다는 것이 늘 맘이 아팠습니다.
    참고로 저는 축구 재능이 없더군요. 어린시절 정말 축구룰 좋아는 했는데 해보니 알겠더군요.ㅜㅜ
    님 말대로 재능이 중요한데 한국인에겐 축구 재능이 많습니다. 환경이 받쳐주면 엄청난 선수들이 나올겁니다.
  • 신비 2022.12.08 05:28
    화성인님처럼 독보적인 선수들도 있을거에요 손흥민같은 선수가 골 넣어서 12년만에 역사를 이루었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41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57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2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84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72
3734 제 꿈이 물리학과인데 4 file 학생 2019.12.02 645
3733 IQ 가 바뀔 수 없는 이유 8 Dd 2023.06.18 645
3732 제한시간에 어떤 의미가 있나요? 1 시간제한 2015.12.03 646
3731 화성인 님의 글에 더하여 3 rainbow 2024.02.14 646
3730 IQ의 정규 코스(본인 뇌피셜 포함) 6 화성인 2024.03.20 646
3729 작업기억력 리버스 리드백 몇자리까지 가능한지요?., 1 강쇠 2018.04.07 647
3728 130넘는 iq를 가진분들은? 1 Spinoza 2020.04.25 647
3727 초6인데요 1 민설 2015.08.01 648
3726 지능발달에 중요한 나이는? 5 file 긴꿈 2022.09.22 648
3725 내가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있는데 이 정도면... 2 file 수학갤러리 2021.10.31 649
3724 신비님을찾습니다. 2 후천적천재가 되고 싶어요 2020.01.18 649
3723 이정도면 좋은건가.... 천재인거 같기도하고 보통인... 3 Iqqqqqqqqq 2023.08.01 649
3722 성인이후의 지능변화를 경험한 사람의 글 (장문입니다) 8 file 지니 2024.01.17 650
3721 고지능 검사 3 file J 2022.02.19 651
3720 초5 학생입니다., 퍙가 해 주세요. 3 윤태환 2021.08.17 652
3719 다행히도 두뇌는 예전 거의 그대로내요... 1 고2됬다 2015.03.21 652
3718 뒤에 문제 5~6 개정도 귀찮아서 안 풀었는데 1 2020.01.30 652
3717 수학적 재능 테스트 해답 4 unlimited potential 2021.04.21 652
3716 아주 나쁜 아이큐까지는 아니군요 저도 1 file 저는 71입니다. 2020.05.15 653
3715 자만하지 마세요 3 죄수 2020.01.01 654
3714 책을 읽는게 정말 중요합니다 6 신비 2023.02.06 654
3713 아이큐 145 3 file jihyeonan624 2020.03.31 655
3712 이 정도면 평균은 되나요? 2 file dannyldj 2020.05.23 655
3711 하버드 대학 교수의 IQ가 궁금해요 신비 2022.03.28 656
3710 아이큐 테스트는 컨디션 영향도 큰가 봐요 1 file 31415 2020.03.22 6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