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68 추천 수 5 댓글 10
Extra Form
https://blog.naver.com/drsquat/220695479992

저도 우연히 이 블러그 글을  최근에 확인했습니다.


요즘 저는 장기라는 게임을 절국했고 안합니다.
2016년도라면 제가 이 게임을 그나마 할때였고 그때 누군가와 대국을 했고 
이분이 저랑 대국후에 소감을 블러그에 남겨놓았더군요.
아마도 저의 세컨드 아디였던것 같아요. 
95% 승률 엄청나지만 접장기를 자주 두면서 가끔 졌습니다.
본 아이디로 가면 사람들이 나랑 안둡니다.
당시 피시방에서 게임을 즐길때였고 겜비가 나가는데 게임을 2시간 3시간 구경만하고
한판도 못두는 경우도 있었지요.
그래서 세컨드 써드 아디로 들어가서 가끔 둡니다만
이 아이디들도 승률이 너무 좋아 사람들이 기피하는 바람에

어떤 아는 분의 아이디를 빌려서 자주 갔습니다.(참고로 저윗 블러그 주인과는 다른 사람)
우연히 그곳에서 그분과 친분이 터졌고 급기야 직접 만나기 까지 했습니다.
그분이 운영하는 유투브 채널에 인공지능과 대국한 기보 모음집이 있습니다.
사람이 거의 이기지 못하는 프로그램인데 알파고처럼 완벽하지 않다보니
제가 이겼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링크걸어놓을테니 보십시오..

인공지능 프로그램 기보있는 채널

https://www.youtube.com/@user-to4xh1di5x

제 인생에 거의 마지막 장기게임을 즐길때였던것 같네요.
돌이켜 생각해보니
이 기보가 있는건 제 아내때문입니다.
소녀시절 멘x에서 인공지능을 장난감처럼 갖고 노는 믿기지 않는
사람이 있고 캡쳐해서 그림을 올리는 것을 보고 참 신기하게 여기다가
세월이 흘러 부부의 인연이 되자 저보고
오빠 아직도 인공지능 이길수 있어? 라고 묻길레
몸좀 풀고 해볼게 
아내가 보는 앞에서 한판 두판 둔것입니다.
놀라면서 아~ 이거 사람이 이기기도 하네 
너무 자주 이기니 그 이후엔 놀라지도 않더이다.

결국 장기라는 게임도 마치 스토쿠처럼 안하게 되고 아마도 할일은 없을 겁니다.
 

  • rainbow 2023.03.17 07:47
    화성인님의 능력은 정말 대단하십니다.
    그 능력을 일반적인 지능 테스트 방법으로는 측정할 수 없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갤러그 게임이나 장기 두는 실력은 따를 사람이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rainbow 2023.03.17 08:06
    얼마전에 갤러그 게임 하셨던 글을 올렸을 때 저도 옛날 생각이 나서 댓글을 올리려고 했으나 시간 초과로 글이 올라가질 않아서 못 올렸었는데 이 글을 보니 다시 그 생각이 듭니다.
  • rainbow 2023.03.17 08:23
    정확히는 기억나진 않지만 대략 23년전으로 생각이 듭니다.
    그 당시에도 게임 사이트에서 바둑과 오목도 두었는데, 아들이 그 게임 사이트를 알려 주어서 바둑을 두었는데 그당시에는 칫수 정하는 방법도 몰라서 제일 낮은 급수부터 시작해서 몇번이상 이기면 한 급씩 올라가는 룰 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3단 까지 올라갔는데 상대방이 불리해 지니까 두지를 않고 시간만 끌어서 짜증나서 그냥 나오면 내가 패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일이 계속되어 그 사이트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 rainbow 2023.03.17 08:53
    그래서 바둑을 주지않고 오목을 두었습니다.
    나중에 알게 되었는데 다른 사람들과 두기도 하는데 그것을 모르는 그때는 컴퓨터와 직접 두는 방법밖에 몰라서 컴퓨터와 두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내가 누구와 오목을 두어도 지는 때가 없었는데 거의 매판마다 지게 되었습니다.
    나중에는 약이올라서 절대 지지않는 수를 개발하여 두었는데. 그때부터 내가 이기기 시작했습니다.
    오목이라도 한수라도 잘못 두게되면 그대로 패하기 때문에 온갖 가능성을 찾아서 방어와 공격을 하기에 오목이라도 바둑판 전체를 차지합니다.
    나중에는 내가 매 판마다 이기게 되었는데 계속 두다보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졸릴 때어는 내가 지는 때가 있더라구요.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나도모르게 빙그레 웃음이 나옵니다. 나도 그런때가 있었지.
    화성인님의 그 놀라운 능력을 보니 그때가 생각나서 몇자 적어보았습니다.
  • tip 2023.03.17 10:30
    초고지능자들은 다르십니다
  • rainbow 2023.03.17 12:38
    이곳에는 화성인님을 비롯하여 뛰어난 분들이 많은것 같아요. 이곳에 오면 더 겸허해 집니다.
  • rainbow 2023.03.17 12:05
    상대방이 둔 수에 날일자로 계속해서 놓으면 교묘하게 상대방이 4개까지 밖에 나가지 못하고 막히게 됩니다.
    이 방법을 다른 사람들과 둘 때 사용하니까 상대가 맥을 못쓰고 지게 되어 있습니다.
    무슨 진을 치듯이 두기 때문에 상대방이 놀라더군요.
    나중에는 그 방법을 다 알게되었으며 내가 두면 아직도 이 방법을 쓰는 사람이 있느냐 하며 멘트를 날리기도 하여 실소를 하기도 했던 생각이 납니다.
  • 화성인 2023.03.17 15:54
    레인보우님도 재미난 에피소드가 있었군요.
  • rainbow 2023.03.17 16:48
    그때가 그립습니다.
  • 재구성 2023.03.18 00:16
    어렸을 때 컴퓨터로 인공지능하고 체스니 바둑이니 두다가 다 말려서 패배한 기억이나
    얼떨결에 무승부같은거나 한 기억만 나는데 다들 대단하시네요 ㄷㄷ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388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249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346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1011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934
4941 지적장애인가요? 2 mmmm 2019.12.19 822
4940 지적장애여부 5 file 고자 2023.04.30 308
4939 지인들 대부분 아이큐 110 넘어가던데 1 file 똑똑 2021.03.20 5460
4938 지식의 총체적 활용 방법[토의 주제] 8 재구성 2023.11.12 267
4937 지수 160 무임승차 론 2 화성인 2024.01.25 404
4936 지니님에게 질문 하나 합니다. 화성인 2024.02.04 235
4935 지능지수는 몇점까지 높힐수 있나요? 9 수학자 2020.12.16 836
4934 지능지수가 매우 높으면 나이들어서 인지능력 쇠퇴... 2 신비 2021.04.28 203
4933 지능지수 열등감에 돌아버릴 것 같네요 한계입니다 5 답답 2017.07.21 1757
4932 지능지수 SD15로 160인 사람은 학습능력이 어느정도... 6 익명 2021.05.09 1062
4931 지능지수 100이나 150이나 별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8 강쇠 2018.03.06 4420
4930 지능장애가 있는건가.. ㅠㅠ 넘 고민되네요 2 ㅇㅇㅇ 2015.06.11 7719
4929 지능이란 무엇인가? AI로 알아본 최신 이론들 5 화성인 2023.04.29 315
4928 지능이 최고조에 달하는 나이 3 file 아이큐 2019.04.06 18919
4927 지능이 단순히 높아지는게 아니라 높아지면서 유지... 신비 2021.06.07 144
4926 지능이 높을수록 집착 안하나요 신비 2021.05.03 219
4925 지능이 높을수록 좋은 이유는? 1 file 재구성 2023.03.03 435
4924 지능이 높을수록 무신론인가요? 1 도형 2020.12.28 419
4923 지능이 높은게 장벽인가요(힘들어서 댓글 남겨요) 6 신비 2021.05.14 331
4922 지능이 높으면 배가 자주 고프나요? 5 신비 2021.06.27 546
4921 지능이 높으면 괴로움 4 토성인 2024.04.14 523
4920 지능이 높으면 게으르다? 3 신비 2021.05.03 312
4919 지능이 높다고 똑똑하게 행동하는거 아닌 이유 신비 2023.05.04 414
4918 지능이 과학계열 업적에 크게 영향을 미칠까요? 3 1234 2020.08.21 592
4917 지능의 본질에 대한 경험적 고찰 8 file 재구성 2023.02.22 3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