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82 추천 수 0 댓글 2
Extra Form
IQ 종류 buckland culture fair iq test, full scale iq test
IQ 측정값 150+
IQ천재로 언론에 알려진 어린이가 크면 평범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동기에 비해 성인기때의 IQ의 영향력이 적은지 궁금하게 되네요.
단순히 '천재'가 아닌 뇌가 일찍 발달한 '조숙'인지 의문입니다.

저는 성인기가 되니까 오히려 고등학교 때보다 뇌가 더 잘 돌아가거든요.
무엇을 배우면 빠르게 입력하고 출력하는 속도가 빨랐습니다.
지금은 독어를 1주일 배웠는데 만 단어까지 도달했습니다.
배우고 싶은건 빨리 배울 정도로 뇌는 빠르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IQ의 영향력이 더욱 커집니다.
IQ가 높을수록 정보를 빨리 처리해서 그만큼 쌓인 정보의 격차도
벌어지고요. 그래서 IQ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정보의 격차가 심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특히 IQ가 높은 고학력자가 그렇습니다.

IQ의 영향력은 살면서 성인기때도 상당하다는걸 느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요? 성인기때도 뇌가 멈추는건 가설일 뿐입니다.
뇌는 1초마다 가소성을 잘 발휘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 재구성 2023.03.22 00:31
    아이일 때와 성인기때 IQ 영향력은 어느쪽이 더 큰가?
    일반적으로는 아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아이가 10가지의 수를 가지고 놀 수 있다면
    성인은 100가지의 수를 가지고 놀 수 있다.
    그러므로, 성인기 때 IQ 영향력이 더 클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어느정도로 영향력이 큰지는, 수를 몇가지나 가지고 있는지? 같은 개개인의 차이라고 봐요 ㅎ

    저는 눈덩이 효과의 차이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10가지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경우의 수와
    100가지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의 차이가 나죠 ㅎㅎ
    또, 10가지에서 100가지의 수를 가지도록 늘릴 수 있는 학습 능력도 IQ에서 차이가 나고요!
    그리고, 눈덩이를 굴리다가 멈추는가 혹은 눈덩이를 굴리는 방향이 눈이 녹은 흙밭으로 굴리는가?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서 천재아가 성인이 되었을 때 평범해질 수 있다고 봅니다.

    어렸을 때 사색하던 나는 공자님 뺨칠 정도로 철학적인 사람이였는데
    어느 순간 모든 것에 흥미를 잃어버리고 그냥 뇌없는 사람으로 살다가
    최근에 다시 지능에 관심이 생기고, 목적 달성에 진전이 있어서 뇌가 살아났습니다.
    메타인지했을 때, 몇달 전의 나와 지금의 나는 똑같은 지능이라고 볼 수 없을 정도의 차이를 느껴요

    최근에 머리 쓰면서 2차원적 상상이 3차원적 상상으로 변했습니다.
    2D 사과에서 3D 사과로 변한 그런 느낌?
    나는 원래도 3D 사과를 상상할 수 있었지만, 말했다시피 의욕이 증발했던 상태였죠;;
    2D는 커녕 그냥 사과도 이미지가 아닌 <사과> 라는 글자만 떠올랐었습니다 ㅋㅋㅋ

    10000을 발휘할 잠재력이 있어도, 매사에 흥미가 없어서 1도 사용하기 싫어지면 의미가 없죠
    당연히 천재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학습이 빠르니 조숙하게 보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위에서 말했듯이 평범해진다고 뇌가 진짜 평범해졌다기 보다는
    잠재력을 끌어낼 이유가 없기 때문에 평범해진거라고 봅니다.

    제가 천재라는 소리는 아니고요 ㅋㅋㅋ
    뭐... 멍청하거나 평균치는 아니니까 저의 경우도 예시로 볼 수 있지않을까? 합니다 ㅎㅎ

    +조숙할수록 사는데 흥미가 떨어지는가? 에 대해 고민도 해봐야겠네요
  • 궁금증. 2023.03.23 00:25
    세상을 바꾸는 능력이랑,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기업을 탄생시키는게 초천재들이 초고도 아이큐 자들이 쉽게 하지 못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릴때부터 천재로 칭송받는 초고도아이큐자들은 옛날이고 지금이고 하나같이 사람들의 관심과 기대속에 세상을 뚝딱 변화시켜줄 영웅처럼 사람들이 기대를 했습니다, 근데 그 기대에 못미쳤죠, 그것이 초고도지능자의 대한 관심이였습니다. 이것이 불가능하니까 아이큐에대한 성인이 되었을때 사람들이 감소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질적으로 초고도의 아이큐 까지 많은 사람들은 본인 적성 분야에서 전문성과 힘을 발휘하고 성실히 살면서 좋은기여를 하고 본인 목표에 잘 도달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27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37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08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71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68
580 지능은 학습결과인가요 생리적결과인가요? 범재 2020.12.20 168
579 지능은유전인가....?? 10 오만필 2009.06.14 4471
578 지능을 높이는 방법 22 250 2021.06.06 789
577 지능을 높힌다고 유전자가 바뀌지 않습니다 11 신비 2021.06.15 426
576 지능을 이해하는 지능 화성인 2024.01.21 230
575 지능을 훈련하신 분 계신가요? 2 질문 2017.10.01 1537
574 지능의 본질에 대한 경험적 고찰 8 file 재구성 2023.02.22 383
573 지능이 과학계열 업적에 크게 영향을 미칠까요? 3 1234 2020.08.21 591
572 지능이 높다고 똑똑하게 행동하는거 아닌 이유 신비 2023.05.04 404
571 지능이 높으면 게으르다? 3 신비 2021.05.03 311
570 지능이 높으면 괴로움 4 토성인 2024.04.14 505
569 지능이 높으면 배가 자주 고프나요? 5 신비 2021.06.27 543
568 지능이 높은게 장벽인가요(힘들어서 댓글 남겨요) 6 신비 2021.05.14 331
567 지능이 높을수록 무신론인가요? 1 도형 2020.12.28 418
566 지능이 높을수록 좋은 이유는? 1 file 재구성 2023.03.03 432
565 지능이 높을수록 집착 안하나요 신비 2021.05.03 219
564 지능이 단순히 높아지는게 아니라 높아지면서 유지... 신비 2021.06.07 144
563 지능이 최고조에 달하는 나이 3 file 아이큐 2019.04.06 18846
562 지능이란 무엇인가? AI로 알아본 최신 이론들 5 화성인 2023.04.29 310
561 지능장애가 있는건가.. ㅠㅠ 넘 고민되네요 2 ㅇㅇㅇ 2015.06.11 7716
560 지능지수 100이나 150이나 별차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8 강쇠 2018.03.06 4418
559 지능지수 SD15로 160인 사람은 학습능력이 어느정도... 6 익명 2021.05.09 1053
558 지능지수 열등감에 돌아버릴 것 같네요 한계입니다 5 답답 2017.07.21 1752
557 지능지수가 매우 높으면 나이들어서 인지능력 쇠퇴... 2 신비 2021.04.28 198
556 지능지수는 몇점까지 높힐수 있나요? 9 수학자 2020.12.16 8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