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91 추천 수 0 댓글 2
Extra Form
 
제가 푼 문제랑 전혀 다른 문제가 올려져 있어서 재 언급을 합니다.
재가 푼 로직은 정답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출제자가 원하는 답이 아닐뿐 내적 논리는 출제자가 원하는 답과 같은 구조입니다.
설명을 하죠.
 
1, 4, 5, 56, ?, 12, 13, 240
이게 제가 접한 문제입니다.
 
앞,뒤,앞,전체,? 뒤,앞,전체
만약에 이런식의 문제가 있다면 여러분들께서는 무엇을 정답으로 하시겠어요?
당연히 ‘앞’을 답으로 할것입니다.
 
제가 로직해설에 올린 것과 원리가 같은 다른 해설을 해보겠습니다.
 
(1,2) (3,4) (5,6) (7,8) (9,10) (11,12) (13,14) (15,16)
위의 두쌍의 수중 패턴에 의해서 한 개를 대표 수로 나타냅니다.
1(앞) 4(뒤) 5(앞) 7*8(전체) 9(앞) 12(뒤) 13(앞) 15*16(전체)
자 어때요? 논리적으로 전혀 에러가 없습니다.
 
이것이 제가 푼 원안 문제이구요,
 
출제자가 다시 올린 문제는 사실상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만약에 제가 수정된 문제를 접했다면
일단 원안 문제를 푼 형식으로 접근을 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지막 항이 17이 나와야 하는데 1이 나왔네 어! 아니네 했을 겁니다.
고민에 잠겨겠지요.
그럼 1차적으로 떠오로는 로직은 주기성입니다.
전체가 된후엔 어떤 뭔가에 의해서 1이되는가? 라고 나에게 반문을 했을 겁니다.

그럼 또 다른 외부 논리의 개입이 일어난것인가? 라고 2차 발상을 했을 것입니다.
2차발상은 1차발상으로 정답도출이  안될때 하는 것입니다. 
2차발상의 결과물은 아마도 출제자가 제시한 지수승을 알아챘을 겁니다.
1이 나올려면 1*1이 되는데 그렇다면 수학적으로 1과 동일한 개념이 뭔가
2/2 5/5 이런 개념 그리고 2^0승 N^0승이구나 라고 발상을 하는 순간
아하 00 01 10 11 ::: 00 01 ........ 제가 첨 제시한 쌍둥이 로직과 같은 모양새가 나옵니다.
 
원래 자기가 생각한 논리가 계속 맞다가 하나가 틀릴 경우 난이도는 급상승합니다.
인간의 두뇌는 사고의 흐름을 바꿀 때 강한 저항감을 주거든요.
 
만약에 마지막항이 17이 나오면 저의 논리가 맞는것이지만 1이 나왔네요..
 
그럼 일차적으로 지수승 발상을 하지 않고 저는 아마도 분명 주기성으로 발상을 했을 것같아요.
 
그럼 첫 시작은 1로 하고 전체가 된 그 담 항은 1이 되는구나
그럼 첫시작 그 이전항은 전체 항이 있었겠구나 라고 생각을 했을 것 같습니다.
 
그럼 놀랍게도 저는 지수승 개념을 도입하지 않고도 정답을 1로 했을 것 같네요.
 
그럼 문제를 제가 다시 각색을 해보겠습니다.
 
보이지 않는항
{{전체}}, 1, 뒷,앞 전체,( ) 뒷,앞,전체,1
제눈엔 출제자 출제한 문제를 이런식으로 보았을 것입니다.
그럼 아하.. 전체가 나온 다음항은 1이 되는것으로 출제자가 설정을 했구나..
 
이런식으로 접근을 해도 됩니다..
 

총평:
출제자가 출제한 논리구조는 정말 좋네요.. 창의적인 발상이 돋보이고 참 아름답습니다.
하지만 제가 문제를 접했던 그 문제와는 전혀 다른 문제였다는 것을 제가 말하고 싶구요,

출제하시는 분이 그 논리적 구조위에 숫자 나열을 좀 다르게 했으면 더 좋았지 않았을까
하는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합니다..

사실 출제하시는 분의 00 01 10 11 다음에 00은 본인의 의도로 주기성을 준것이거든요.
즉 저의 답안도 쌍둥이 로직 주기성을 제가 언급한것입니다.
저의 글을 통해서 같은 로직인데도 앞,뒤 개념으로 다르게 해석을 하는 방법이 있구나 라고 아시면 좋겠네요
 
사람의 두뇌는 가장 간단한 로직을 먼저 검색합니다.
그리고 그런 베이스위에 명증한 답이 나오면 그것이 정답으로 생각하죠.
바로 오캄의 면도날 법칙입니다.
출제하시는 분의 의도는 지수승을 넣은것이지만
푸는 사람 입장에선 복잡한 논리를 첨부터 생각지는 않거든요.
 

  • 샐리 2023.05.04 12:42
    수의 배열을 다른 식으로 했더니 일반적인 수열 문제와 별 차이가 없어지거나 난이도가 급격히 상승하더군요. 로직 자체가 마음에 들어 억지로 살리려고 하다보니 이런 문제점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차라리 수열을 조금 더 길게 제공했다면 어땠을까 싶기도 합니다.
  • 화성인 2023.05.04 12:50
    ㅎㅎ 굉장히 논리는 좋고 창의성이 돋보이는 멋진 문제입니다.
    다만, 첨부터 마지막항을 1로 했었더라면 더 좋았을 것같아요.
    그리고 제가 글을 쓴것은 1,2,3,4,5,? 당연히 6입니다. 이 6이 나오는것의 가장 쉬운길은 1씩 더한것이잖아요.
    이걸 다르게 해석해서 6이 나옵니다. 그러나 그것은 더 복잡성을 가지고 답이 다를땐
    오캄의 면도날 법칙에 의해서 가장 단순한 1씩 더하는 것이 더 정답의 지위가 우위에 있는 거죠.
    그걸 말하고 싶어서고 출제자의 의도는 아니지만 다르게 해석해서 같은 지점에 가게 됩니다.
    논리의 모순이 없고 에러가 없다면 그렇게 됩니다.
    많은 이들은 2,4,6,8,10,? 12 2씩 증가한다고만 압니다만.. 이걸 다르게 해석이 가능하거든요
    제 글을 보시는 분은 그런 새로운 발상 하나를 더 장착했으면 좋겠다는 의도로 제가 글을 작성했습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님의 논리 정말 좋네요.. 굳 베리굳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36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49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11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79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70
5232 안란희 2006.05.19 1601
5231 저요 13살인데.... 1 김창희 2006.05.22 2307
5230 아이큐요.. 5 중1학생 2006.05.29 1633
5229 안녕하세요 34살 아이큐 103나왔어요. 9 최반장 2006.06.04 3021
5228 10살 7 서비현 2006.06.06 4083
5227 아 오 ~ 저 아이큐가 12 안광은 2006.06.08 1649
5226 나는 아이큐가 높은 가요? 5 김00 2006.06.09 1609
5225 12에 아이큐 116 잘한건가요? 3 tizmdhs12 2006.06.09 1729
5224 공부와 아이큐관계 3 2006.06.10 1761
5223 아이큐 -- 2006.06.10 3302
5222 [re] [RE]안녕하세요 34살 아이큐 103나왔어요. 1 미스김 2006.06.10 1877
5221 내아이큐 12세에 133이면 좋은건가여? 8 ㅇㅅㅇ 2006.06.10 1650
5220 이거왜 다 다르게 나오조>>? 1 오나전대박 2006.06.10 1587
5219 저는나이가 12살 5 아이큐 2006.06.11 1593
5218 나이는 만 13세 흠흠흠 2006.06.11 1641
5217 전11살인데.92면좋은건가요? 11 한진희 2006.06.12 1764
5216 재미가 없어 4 지종국 2006.06.13 1663
5215 저기.. 이건 보통이겠죠? 5 인간오류 2006.06.15 1783
5214 아이큐가,,문제반풀어서 8 김성현 2006.06.18 1892
5213 확실한건가여 ;; ㅋㅋ 1 박현정 2006.06.22 1544
5212 만16세가 116이면.. 돌..- _-?.. 6 구** 2006.06.26 2676
5211 흑흑흑... 1 뜨연띄☆ 2006.06.26 1603
5210 저 나이가 13살인데요... 3 최떵오 2006.06.29 1641
5209 전12살아이큐126좋건가요?? 2 이OO 2006.07.01 2235
5208 근데염;; 아이큐테스트 시작하니까 화면이 막흔들림; 1 이규철 2006.07.04 15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