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인   2023.07.14 23:01

AI 와 이야기중 황당한 경험기

조회 수 245 추천 수 2 댓글 4
Extra Form
M.png

 

 

제가 이젠 AI의 특성을 조금 압니다.
그래서 이야기를 어떤식으로 이끌어야 서로 원만한 대화가 되는지 그 촉을 알게 되었지요.
처음엔 그냥 단답형으로 질문을 했는데 유명한 분야가 아닐경우 의외로 어이없는 오류를 잘 범합니다.
의심스러워서 여러차례 디테일하게 이야기를 해도 마치 사람 같으면 아주 태연하게 거짓말을 하는격입니다.

그중 황당한 사건을 이야기 할까합니다.

세상에 조류가 새끼를 낳는 경우가 있다고 하고 그 새끼를 잉태하는 새종류까지 디테일하게
정보를 주더이다.
내 상식으로 듣보잡인 조류가 임신을 해서 포유류처럼 새끼를 낳는다?
이런 경우가 정말 있는 줄 알고 그가 언급해준 이상한 새종류를 구글로 검색을 해보니
없는 것도 있고 있는 것도 그냥 조류인데 도무지 납득이 되지 않아서
먼저 조류의 정의가 뭐냐를 물었지요
그럼 조류와  포유류의 차이점이 뭔가
내가 아는 상식을 이용해서 이야기를 이끌어 낸후에
그럼 조류가 새끼를 낳고 모유로 기르는 순간 그건 포유류의 특성이 아닌가?
그건 조류가 아니라 포유류다  
그러면서 펭귄 이야기도 하고 박쥐이야기도 했습니다.
또한 내 상식으로 포유류가 알을 낳은 경우는 안다
이런 희귀한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런식으로 논의를 쭈욱 이끌어가니 자신의 오류였다 착각을 했고 잘못된 정보를 주었다 라고 하더군요.
참 쉽죠  사과 몇마디로 끝...
그래서 저는 AI가 너무 이상한 이야기를 하면 일단 의심을 하고 구글 검색을 꼭 합니다.
한번은 명언을 알려달라고 하니 쭈욱 보여주든데 확실히 사람에겐 뭔가 촉이란것이 있습니다.
이상하더군요..
그런데도 자기는 맞다고 우기는 겁니다.
그래서 다른 정보를 복사해서 보여주고 논의를 하니 
자기는 다양한 정보소스를 이용하다보니 이런 일이 생긴다
그래서 다음 이야기를 할때는 출처가 정확한 이란 단서조항을 말해주니 정밀한 정보를 주더군요.
사람이 아니다 보니 정말 황당무계한 답변도 나오더군요. ㅋ

결론은 양질의  정보를 알려면  질문하는 사람도 일정한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검색은 필수 그리고 인간이 아니다 보니 뭔가 다른 정보를 주면서 AI가 관련 빅데이터를
끌어올 단서조항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그럼 AI 내부적으론 어떤 연산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그렇게 할때 관련 데이터를 많이 업로드해서 이야기를 하는것 같아요.

아무튼 그냥 믿고 인정했다간 황당무계한 경험을 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첨언)
AI 서비스중 대화한 내용 검색기능이 있으면 좋겠는데 없는 바람에 찾기가 참 힘듭니다.
그래서 너무 대화창이 많아서 많이 지웠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참 아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행히 본문에 언급한 쳇창을 찾았고 그중 한 대화내용을 캡쳐했습니다.

  • 재구성 2023.07.14 23:23
    대화형 AI관련 개발자분들이 말씀하시는 영상을 보니
    AI는 그냥 빅-데이터로 끌어모은 자료를 맥락에 맞게 가져다 붙이는 식이라서
    화성인님 말씀처럼 AI는 거짓말을 되게 그럴듯하게 잘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제 머릿속 데이터가 뭔가 나사 하나 빠져있을 때
    AI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풀어보고
    거기서 원하는 데이터(키워드)를 뽑아오는식으로 활용합니다.

    노래 가사만 기억나고 제목이 기억안날 때 AI에게 이 가사의 노래 제목이 뭐야?
    하는식으로 물어보면 정말 찾기 편해요 ㅋㅋ

    AI가 맞는 이야기를 할때도 많지만 이상하게 틀린 이야기를 할 때도 많기에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면 정보의 교차검증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AI가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대체하기엔 아직인 것 같아요

    그나저나, 조류가 새끼를 낳는다는건 참... 대단하네요 ㅋㅋㅋㅋ
  • 화성인 2023.07.14 23:45
    저도 최고의 발견이 있는줄 알고 믿을 뻔 했습니다. ㅋ
    포유류가 알을 낳는 경우가 발견되어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그것을 알고있어서 와우 조류가 새끼를 낳는다
    그런데 좀 이상한것이 캡쳐화면 말고 다른 장면에서 생각보다 예시가 많아서
    너무 황당해서 관련 이야기를 더 한것이죠.
  • 태웅 2023.07.16 19:02
    돈을내고 쓰는 gpt4는 이런것이 휠씬 덜합니다. 성능 차이가 압도적이에요 무료버전에 비해
  • 화성인 2023.07.16 19:33
    아무래도 유료인만큼 차이가 있는것이 어쩌면 당연할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04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91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82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38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50
522 중3의 꿈에 대해 3 막막한 사람 2023.04.22 171
521 외로움과 열등감이 무엇인가 다소 주관적인 정리 file 소닉좌 2023.04.22 199
520 23살 이후 IQ의 의미가 줄어드는 이유 3 신비 2023.04.22 541
519 수리언어 검사 결과 2 file 피터팬 2023.04.22 226
518 내가 생각하는 chat gpt (3.5 ver) 의 대표적 특징 8 샐리 2023.04.23 208
517 pyschometrica 온라인 심리검사(8개의 카테고리) file 신비 2023.04.23 128
516 초등이후 오랫만에 검사(만39세) 1 file 멘사 언젠간 2023.04.23 316
515 The IQ test results I took at this place. 11 file 피터팬 2023.04.24 199
514 저는 어렸을때 천재가 아니었는데 살면서 노력하니... 7 file 신비 2023.04.24 388
513 Speed reading is fast thinking. 3 피터팬 2023.04.24 122
512 이 결과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6 file 에너지 2023.04.24 345
511 다들 아이큐 테스트 하길래 저도 해봤습니다. ㅎ 4 file 재구성 2023.04.25 313
510 저도 아이큐 테스트 결과입니다 2 file 변증법 2023.04.25 375
509 treningmozga IQ 테스트 경험기 4 file 화성인 2023.04.25 327
508 정확한거같기도.... 3 file 크오오오 2023.04.26 338
507 treningmozga 4 file 샐리 2023.04.26 175
506 How does bright people perceive the world? 4 신비 2023.04.26 227
505 숙취중 해본 테스트 결과 6 file 변증법 2023.04.26 267
504 Treningmozga의 아이큐 점수 2 변증법 2023.04.27 153
503 아이큐테스트결과. 1 file ???? 2023.04.27 245
502 저 아이큐 높은 건가요? 1 file 무명의 더쿠 2023.04.27 332
501 기억이 먼저일까 사고가 먼저일까? 개인적인 생각은... 4 신비 2023.04.28 170
500 자작] 수의 규칙 찾기 20 file 화성인 2023.04.28 303
499 treningmozga 만만치 않네요. 6 화성인 2023.04.28 262
498 의식의 특성과 그 응용에 대한 설명 2 재구성 2023.04.28 1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