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닉좌   2023.08.28 02:45

1+1=2의 본질?

조회 수 238 추천 수 0 댓글 3
Extra Form
IQ 종류 웩슬러
IQ 측정값 110
1688647949.jpg

 

1+1=2 증명이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페아노 공리계 증명은
애초에 1+1=1'과 1'=2를 공리로 정해놓고 1+1=1'=2라고 하는 꼴이라 그냥 말잘난이고
왜 1+1=2가 되는지 본질적으로 설명을 못해 줍니다

그러나 저는 왜 1+1=2가 되는지 더 본질적인 원인을 찾았습니다

우리가 녹색사과 한개, 빨간색 사과 한개를 이웃하게 붙여놓으면
그건 세상의 입장에서 보면 녹색사과 한개, 빨간색 사과 한개일 뿐이지 별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나 사물간의 거리가 일정 미만이면 서로 상호작용 할 확률이 높아서
그걸 하나로 묶어서 인식하는게 합리적이라
가까운 사물을 하나로 묶어 보도록 유전자에 자연선택적으로 알고리즘이 박혀있어서 그냥 1+1=2라고 인식할 뿐입니다
1+1=2은 실존하는 개념이 아닌데 그냥 주관적인 인식으로 생기는 허구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정신이 공리의 본질입니다
그중에서도 감각적인 인식기능이 곧 공리의 본질이고
인식기능이 뛰어날수록 그사람이 지닌 공리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나 싶습니다

  • 소닉좌 2023.08.28 22:32
    그러나 1+1=2가 대다수가 무의식적으로 알고있는 두루뭉실한 개념을 넘어서
    "1+1=2"라는 문자로 확립 된 이유에는 물물교환을 위해 아라비아어를 기준으로 일편단률적으로 이용이 된거니 "대다수의 물질적 이득에 의해 요구되는 실용성" 또한 1+1=2가 발생한 근본적인 이유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소닉좌 2023.08.30 08:01
    또한 1+1=2가 구체적인 현상의 대부분을 측량 할 수 있어서 과학과 수학에서 보편화 된거니
    "구체적인 상황의 측량"또한 1+1=2가 발생한 근본적인 이유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1+1=2가 보편화된 이유는 더 크게보면
    우리의 추상적인 정신이 단일 원인이 아니고
    그것이 구체적인 욕구와 현상을 대변해서도 단일 원인이 아니고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상징의 정의에 맞는 조건을 가져서 공리로 남을 수 있었다고 보입니다
  • 소닉좌 2023.08.30 10:04
    애초에 1+1=2는 질량 등 대부분 변수에는 일관적으로 적용되지만
    갯수를 변수로 계산하면 물이나 찰흙등 유동성이 있는 물체들에는 1+1=1이라는 결과가 나오고
    반물질과 일반물질을 합하면 1+1=0 이라는 결과가 나와서 일관적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부피와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해도 반물질과 일반물질을 합하면 1+1=0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1+1=2는 다수의 주관적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해둔것이지 빈틈이 없는 절대진리가 아니므로 더 고차원적인 공리로 증명도 불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484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285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389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1044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978
5041 나이들수록 지능이 점점 유전의 영향이 커지네요 4 신비 2023.05.29 445
5040 이상한 채점 1 file rainbow 2023.05.29 539
5039 IQ도 스펙에 있었으면 좋겠다 5 신비 2023.05.28 403
5038 기독교 관련 제글 오해가 있어서.. 화성인 2023.05.27 142
5037 세상을 사는 지혜 8 화성인 2023.05.27 295
5036 주의사항 1 샐리 2023.05.27 124
5035 wais digit span 테스트 file 신비 2023.05.26 173
5034 한국에 알려진 유명한 (초)고지능자 거의 기독교인 21 화성인 2023.05.26 530
5033 궁금증. 약점인 인지유연성ad와 환경 실행능력 저하... file 궁금증. 2023.05.26 97
5032 궁금증. file 궁금증. 2023.05.26 86
5031 요새 테스트 결과 공유가 활발한 것 같네요 5 file J 2023.05.25 282
5030 저의 사고방식, 발달하는 과정입니다. 재구성 2023.05.25 143
5029 뇌 기능의 성장과 한계 4 92년 5월 16일 남자 2023.05.25 231
5028 어리얼미 색깔테스트 초,재,삼,사시 기록 file 화성인 2023.05.25 196
5027 재구성님의 IQ에 관한 썰을 보고 2 화성인 2023.05.25 198
5026 저도 단기기억력 테스트 해봤습니다. 5 file 재구성 2023.05.24 478
5025 신비님이 하신 테스트 어렵네요… 8 file 92년 5월 16일 남자 2023.05.24 284
5024 신비님이 하신 기억력 테스트가 2 file 92년 5월 16일 남자 2023.05.24 174
5023 IQ 130 이상의 변별 조건들 4 화성인 2023.05.24 811
5022 전 암기력 좋습니다 7 file 신비 2023.05.23 383
5021 처음으로 140 넘겨봅니다. 4 file 재구성 2023.05.23 321
5020 재구성님이 해보셔서 저도 확인해봅니다 2 file 에너지 2023.05.23 111
5019 수리/언어 세번째 측청 결과 및 생각의 흐름 11 file 재구성 2023.05.22 273
5018 Iq exams net 결과 file 변증법 2023.05.22 156
5017 살면서 IQ 분명히 변합니다 2 신비 2023.05.21 5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