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0 추천 수 2 댓글 4
Extra Form
IQ 종류 수리/도형
IQ 측정값 125
전 지능에 대해 2가지 가설을 세웠습니다.

1. 애초에 왜 IQ는 인간의 전반적인 학습능력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작용하는 걸까?
어쩌면 IQ 측정 지표들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능력이기 때문일 수 있다.
그렇다면 IQ 측정 지표들에 대한 의도적인 연습을 통해, 전반적인 학습능력의 증진이 가능할 것이다.

2. IQ는 향상가능하다.

현재 제 아이큐는 125입니다.
그리고 전 의도적인 연습을 연습을 통해, 아이큐를 136까지 올릴 생각입니다.

제 계획은,
 
당장은 유산소 운동, 마음챙김 명상, 트럼프 카드 외우기, 마음속의 궁전 세우고 문장 외우는데
활용해보기. 이렇게 4가지 연습을 함으로서 작업기억능력의 향상을 시도할 생각입니다.

작업기억능력은 학습능력과 IQ의 주요 예측지표이므로, 작업기억능력을 향상시킴으로서
해당 능력들도 올릴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기억능력의 향상이나 학습 능력의 향상을 의도적인 연습을 통해 달성하신 분이 계시다면, 
또는 제 프로젝트에 대해 주실 수 있는 조언이 있으시다면 
조언을 해주셨으면 하는 마음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연습을 하면 더 효과적인 지능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까요?
 

  • 재구성 2023.12.16 00:27
    제 경우에는 학습을 통한 성장보다는
    신체 컨디션 및 상태 변화, 정신의 고양, 사고방식의 변화가 드라마틱하게 효과가 있었습니다.
    학습의 경우에는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고 하듯이 서서히 변화하는 효과가 있었고요
    학습의 경우도 단순 반복은 그 잠깐이 지나면 쓸모가 없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작업기억의 변화는 단순하게는 여러 단위를 하나로 묶어서 기억하는 방법이 보편적이지만
    저의 경우에는 기억하는 사고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서 조금 향상 시켰습니다.
    제가 청각적 기억 방식으로 기억하던 것을, 시각적 기억 방식으로 변경하니 어떤 부문에서는
    작업기억이 가시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향상되더군요

    이러한 탐구 과정속에서 가장 크게 느껴진 점은
    인간의 지능지수 차이는, 근본적인 사고 방식 자체가 서로서로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어떤 풍경을 사진처럼 받아들이고
    어떤 사람은 어떤 풍경을 소리로, 누군가는 언어로 기억합니다.
    그 다음에 호기심이 있는가 없는가의 차이도 생기고
    원리와 근본을 탐구하고자하는 탐구심이 있는가 없는가의 차이도 있고

    단 두 사람을 비교할지라도 무궁무진한 개수의 크고 작은 사고방식의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쥐와 사람 정도의 신체적 차이가 아니라면
    사람과 사람간의 신체적 차이는 아마, 사고방식
    즉, 세상을 어떤 식으로 인식하고 살아가는지에 대한 작으면서도 크기도 한 매우 많은 차이점들이
    지능지수의 차이를 야기한다고 봅니다.

    결론적으로는...
    지능지수를 바꾸고자한다면, 본인의 인식 체계를 근본부터 뜯어 고쳐야 한다는 견해입니다.

    더 쉽게 말하자면...
    하던대로 한다는 것은, 아무런 변화를 야기할 수 없습니다.

    똑같은 일을 시도하더라도, 그것을 어떤식으로 생각하고 어떤식으로 인지하고 인식하는 지를
    평소 하던대로 하지말고 바꾸어봐야 합니다.

    그런데, 하던대로 안하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곳에서 초고도 지능을 지니고 계신 분들이 어떤식으로 생각하고 추론하는지를 많이 여쭤봤어요
    그 다음에는 따라해봤습니다.

    그런식으로 하다보니 지능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 136,147 2023.12.16 15:57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청각적 기억을 시각적으로 바꿔서 기억한다던지, 인식체계를 뜯어고친다는 것이 어떤 방식으로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인지 저로서는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혹시 효율적인 사고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으신가요?
  • 재구성 2023.12.19 00:12
    1. 청각적&시각적 기억
    https://bbs.iqtest.kr/index.php?_filter=search&mid=iqtest&search_keyword=%EC%9E%AC%EA%B5%AC%EC%84%B1&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226234

    2. 사고 순환 구조
    https://bbs.iqtest.kr/index.php?_filter=search&mid=iqtest&search_keyword=%EC%9E%AC%EA%B5%AC%EC%84%B1&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222039

    동일한 사물과 현상이 존재해도, 누가 관찰했느냐에 따라서 다른 사물과 다른 현상으로 인식합니다.
    새가 바라보는 세상과 쥐가 바라보는 세상은 서로 다릅니다.
    본인이 바라보는 세상과 타인이 바라보는 세상도 서로 다릅니다.

    여러 고지능자분들을 만나거나 이야기해보면서 제가 느낀 것은
    그냥, 똑같은 사물과 현상을 보아도 어떤식으로 인식하고 사고하는지... 그 체계 자체가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한 수학 계산 문제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그 수학 문제를 보고 눈을 감고 머릿속에서 이미지를 떠올리며 암산을 하고
    어떤 사람은 그 수학 문제를 보고 글로 적으며 문제 풀이를 하고
    어떤 사람은 눈을 부릅뜨고 바라보며 홀로그램 수식을 띄워놓고 풀이를 하고
    어떤 사람은 그 문제의 수식과 숫자를 소리로 되뇌이며 풀이를 합니다.

    위의 수학 문제에서 정답이 되는 사고 방식이 무엇이다! 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무엇이 효율적인 사고방식이며, 인식체계인지는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의 종류가 다르듯이
    가장 효율적인 사고방식과 인식체계는 문제의 개수만큼 다릅니다.
    실은... 이러한 점이 문제라기보다는, 다들 해왔던 방식으로만 시도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평범한 사람과, 유달리 아이큐가 높은 사람의 차이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은 위와 같은 부분입니다.
    사고의 유연성과 저러한 사고방식, 인식체계들의 사소한 차이가 누적되어서 결과적으로는...
    이러한 사소한 차이가 뭉쳐서... 큰 틀에서 보았을 때
    그냥 종족이 다르게 태어난 것 마냥, 그 차이점이 극대화 됩니다.

    인식체계를 바꾼다는 것은
    이러한 차이점을 인지하고, 동일한 사물과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달리해본다는 것을 뜻합니다.
    관점의 변화, 다각도의 관점을 가지고자 시도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 이러한 변화는 굉장히 힘듭니다.
    왜냐하면, 십중팔구는 본인의 인식체계 안쪽에서만 변화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다들 해봤던 방식으로만 시도해본다는 뜻)

    그래서, 이러한 인식체계의 변화를 시도하기 위해서는
    1. 관찰할 것
    2. 따라할 것 (모방하기)
    3. 내일 기상예보에서 개구리 비가 떨어진다고 해도 받아들일 수 있는, 극도로 열린 관점이 필요합니다.
    만약, 개구리 비가 떨어진다고 했을 때... 그게 말이 돼? 라는 관점으로 바라보았다면, 글렀습니다.

    요약하면

    유연한 사고, 열린 마음, 관찰할 것, 모방해볼 것, 색다른 시도를 해볼 것
    정도가 되겠네요

    아! 그리고 대화형 AI를 사용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저는 글을 읽을 때 그냥 읽은 다음, 복붙해서 Chatgpt에게 물어봅니다.
    요약해줘, 맥락은 무엇인가?, 요점은?, 비판적으로 평가한다면?, 객관적인 사실이라고 볼 수 있을까?
    뭐 이런 것들을 물어봅니다.

    이게 도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제가 한 요약과 대화형 AI가 한 요약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차이점이 나온다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차이점으로부터 얻어가는 것들이 있거든요 ㅎㅎ 
  • 신비 2023.12.22 21:13
    근데 그 다름을 잘 느끼기 위해 고지능자의 사고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고지능자와 일반인들의 인식체계는 차원과 같은데 고지능자는 일반인의 3차원보다 더 높은 4차원으로 이해합니다. 우선 고지능자 친구들을 많이 사귀는게 좋다고 생각이 드는데 멘사 단체에 그런 분들 많아서 사상을 공유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고지능자 사고를 따라할 전제조건이 충분히 되는거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41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53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19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82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72
732 Iq와 사랑은 무슨 관계가 있나요? 전화 2024.03.30 419
731 IQ와 사고속도 7 신비 2023.10.04 697
730 IQ와 나이와의 상관성 4 file 하늘길 2021.02.24 590
729 IQ와 기억력은 무슨관계가 있나요? 4 ganebayashi 2016.05.24 5697
728 IQ에 한계를 두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5 신비 2024.01.09 363
727 iq에 대한 고찰 1 file ㅇㅇ 2019.03.10 809
726 IQ에 관한 재밌는 사실 2 백수 2022.11.24 476
725 IQ에 관심 끄겠습니다 8 신비 2022.11.14 1000
724 IQ에 걸맞는 능력과 직업/진로 이거 맞나요? 4 HYPSMC 2020.12.11 3013
723 iq성별차이 잘 모르시는 분들이 있길래 자료 올려봅... 3 file 신비 2023.04.02 831
722 IQ상위 2퍼라는데 10 dsfa 2021.06.14 804
721 IQ보다 더 중요한 것 3 John 2015.02.11 1506
720 IQ많이 나온건가? 9 15살 2007.08.18 1563
719 IQ를 일부러 낮추고자 하면 내려갈까요? 10 IQ 2012.02.03 9964
718 iq를 올리는 확실한 방법, 표준편차15 165이상 사람... 3 iq에 집착하는 사람 2021.04.19 413
717 IQ를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의 시작은 어디일까? IQ 2008.03.13 1825
716 iq랑 성적은 전혀 상관없음. 1 고1 2007.09.23 1563
715 IQ도 스펙에 있었으면 좋겠다 5 신비 2023.05.28 399
714 IQ는 학습능력과 크게 상관 없는 것 같습니다. 7 ㅁㄴㅇㄹ 2018.08.28 1706
713 IQ는 취미로 생각하세요 2 신비 2021.06.26 423
712 IQ는 지능이라하는데 기억력 역시 비례할까요 1 멘산 2012.06.24 8744
711 IQ는 변합니다.. 10 IQ 화성인 2018.02.19 3448
710 IQ는 바뀌지 않나요? 1 인간 2008.03.29 1748
709 IQ는 공부 잘하는것과 못하는것은 관계가 있다 없다... 사람 2007.10.15 1728
708 IQ결과 ;; 1 이모군 2005.01.23 30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