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   2024.02.29 19:58

저의 부족함을 인지했습니다

조회 수 405 추천 수 5 댓글 4
Extra Form
IQ 종류 matrix b
IQ 측정값 194
스크린샷 2024-02-29 010647.png

 



iq100 → IQ 130 → IQ 160 → IQ 180 이렇게 3번의 지수적 성장을 경험하고 내노라하는 고지능자 테스트들에 합격했것만 

산을 넘으니 다음 산이 있군요 ... 

matrix b 의 마지막 문제에 대한 화성인님의 썰을 보았습니다.

여기서 저는 저의 부족함을 너무나도 깊이 깨달아버렸습니다. 

저정도의 추론능력과 발상을 가질려면 얼마나더 노력해야하는가 

까마득한 눈높이의 정상을 보는 듯한 기분이 듭니다. 

천재란 이런거구나 

10번안되면 100번 100번 안되면 1000번 10000번 안되면 100000번 

여태까지도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것입니다. 

무한한 노력으로 다음 성장을 향해 달려갑니다. 

자는시간을 1시간 정도 줄이고 식사시간을 15분으로 단축할겁니다. 

양질의 수면을 위해서라도 수면사이클의 정교한 조정과 멜라토닌 제제의 규칙적인 복용을 추가하고 식사는 도시락 업체와 연계하여 조리하는시간을 생략하고 바로 식사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 두었습니다 그리고 식사시간이 짧은 만큼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기위해서 종합비타민 제제를 식단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시간은 저의 두뇌훈련 도구인 격투게임과 바둑에 완전히 매진할겁니다. 

iq300을 향해서 달려갑니다.

목표의 한계가 없는 한 저의 노력은 죽기전까지 반복될겁니다.

 

  • 에너지 2024.02.29 21:31
    지니 님의 엄청난 열정과 높은 목표를 향한 마음 그리고 노력은 정말 존경스럽고 본받고도 싶습니다. 그러한데 지니 님께서 수면 시간과 식사 시간까지 줄여가는 것은 솔직히 저는 걱정이 되네요..... 되도록 건강하게 지내시는 것을 바랍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아 그리고 제 생각에는 지금도 지니님은 천재다 라고 생각 합니다
  • 화성인 2024.03.05 16:48
    지니님에게 한 가지 말씀 드릴게 있습니다.
    님께서는 아이큐 커뮤의 대부분 사람처럼 지능 지수에 대한 오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지금 글에도 보입니다.
    저의 이름으로 검색해서 번호 264, 268번 글을 보시면 일반 지능에 대한 현대 주류 심리학자들의 의견이 어떤 것인지 어느 정도 알게 될 것입니다.
    264번 2023년 9월 13일 제목은 "FSIQ 계산 원리"
    267번 2023년 9월 13일 제목은 "멀티 측정이 실제 지능에 가까운 이유"
    268번 2023년 9월 28일 제목은 "영역 점수 총합과 FSIQ 관계 IQ 200의 존재 양식"
    306번 2024년 2월 25일 제목은 "지각 추론에 대한 오해"
    도형추리 단일 요인이 주는 지능지수 산출 맥스는 145 3시그마 정도입니다.
    그 이상은 의미가 없는 구간 점수 일뿐이구요.
    만약에 님의 논리 그대로 적용해서
    저의 장기게임 패턴 인식(도형추리)으로 측정된 저의 IQ는 300점대를 넘어섰다고 봐도됩니다.
    바둑 최고수 신진서 바둑 패턴 인식(도형추리)으로 측정된 IQ는 300점대를 넘어섰죠.
    과연 이게 일반지능으로 표현 가능할까요?
    도형추리도 결국 패턴 논리이고 바둑,체스,장기도 패턴 논리입니다.
    지능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될 때 제대로 된 두뇌계발도 가능합니다.
    한쪽 방면에 특화된 것과 일반 지능이 무엇일까요?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을 저의 글이 줄 것으로 보이네요.
  • 에너지 2024.03.06 00:21
    단일 검사가 웩슬러에서 145가 맥스치인것은 아직은 그 이상의 통계적 증명이 되지 않아서 인가요?
  • 화성인 2024.03.06 07:16
    네.. 통계적인 문제도 있고 단일 요인으로 더 높은 점수를 부여 하면 지수가 왜곡되는 현상이 생깁니다.
    저는 작업 기억력이 뛰어난 편인데 이 영역의 천장을 높이면 이것 하나로 전체IQ가 많이 올라가는
    왜곡이 되겠죠.
    특화된 기술인지 일반 지능의 발현인지 확실히 알 수가 없으니 다 요인 검사로 일반 지능을 산출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학자들은 보는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75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188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263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926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88
1110 매트릭스테스트 한계 4 file deer 2022.03.18 186
1109 흔히 말하는 끌어당김 법칙에 대한 생각 공유 5 하늘 2022.03.18 234
1108 오프라인 테스트와 온라인 테스트 6 하늘 2022.03.18 485
1107 지능은 뇌의 품질 직접 확인하는 것이 제일 정확 10 화성인 2022.03.18 878
1106 35 대 1 님게임 에피소드 10 화성인 2022.03.19 305
1105 중 2 두번째 시도. 이것은 몇개 틀린것입니까? 5 file 늑대 2022.03.22 260
1104 오염되지 않는 자신의 IQ를 아는 방법이 있어요 1 신비 2022.03.22 431
1103 전문대입니다 2 file 안양하세여 2022.03.23 310
1102 재미삼아서 간만에 해본 수리 언어 도형 5 file 하늘 2022.03.23 457
1101 130 이상만 되어도 아주 우수한 지능입니다 6 Sdf 2022.03.23 718
1100 우리나라 최초 지능검사 1 file 지능검사 2022.03.23 562
1099 옛날 학교에서 실시한 아이큐의 표준편차는 15입니다. 1 file 표준편차 2022.03.24 1798
1098 IQ가 높을수록 자신의 능력이 기대이상보다 좋아요 2 신비 2022.03.25 541
1097 20살까지만 뇌의 영역들이 발달하다니 뇌는 가장 일... file 신비 2022.03.25 263
1096 지능과 투표권에 대한 의견교환 요청 12 하늘 2022.03.25 255
1095 일반지능검사A,B형 문제 유형 8 화성인 2022.03.25 553
1094 갓 스무살 앞으로 발전 가능성... (수리/도형, 성인... 8 file 이상한나라의앨리스 2022.03.27 580
1093 A real me 사이트 IQ 결과 3 file 신비 2022.03.27 336
1092 학교 IQ의 문제점 지적한 기사 5 file 화성인 2022.03.27 570
1091 뇌의 크기와 지능의 상관관계에 대한 정리글(영상정... 6 하늘 2022.03.28 707
1090 하버드 대학 교수의 IQ가 궁금해요 신비 2022.03.28 658
1089 재시로 다 맞췄습니다 file hustaf 2022.03.28 226
1088 아인슈타인, 존 폰 노이만 머리 크기는 다소 작은 편. 5 화성인 2022.03.28 1010
1087 워크넷 직업적성검사 해봤습니다 1 file 워크넷 2022.03.28 737
1086 공통성이랑 행렬추론은 정확히 무슨 차이인가요? 6 햐뉴 2022.03.28 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