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9 추천 수 0 댓글 5
Extra Form
예를 들어서 1234+1234를 계산할 때
저는 앞자리 1끼리 먼저 덧셈하고 그 다음은 2끼리... 3끼리... 4끼리 덧셈합니다
요즘에는 그냥 덧셈할 때 숫자와 숫자가 서로 녹아들다가 덧셈 결과가 한번에 딱! 하고 나오는 식이긴 한데
항상 덧셈을 하는 제 방식의 베이스는 앞자리부터 순서대로 덧셈하는 계산법입니다.

어떤 분들은 맨 뒷자리인 4+4를 계산하고 3+3... 2+2... 1+1을 계산하는 순서로 합치시더군요

여기서 수학을 잘하시는 분들은 어떠한 순서로 덧셈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리 2024.04.17 00:02
    1240-6+1240-6
    이런식으로 간단한 수로 변형해서 계산하거나 도형을 떠올리죠. 간단한 수 변형은 복잡한 계산에 효율적이며 사실상 도형의 원리를 이용한 겁니다.
    계산만 주구장창 하는것보다도 수학적 패턴과 개념을 좀 더 고민해보면 좋겠죠.
  • 해리 2024.04.17 21:07
    아 그리고 수학 잘하는 사람이 어떤 순서대로 계산한다. 로 정해진 건 딱히 없는 거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주판 하던 경험을 살려 주판으로 순식간에 계산할 수도 있구요..
    어떤 분은 그냥 계산이 귀찮아 기계에도 맡겨버립니다. 어떤 분은 계산을 빨리 하려고
    여러 결과들을 아예 암기하고 체화 시켜서 마치 '감'처럼 답을 맞추시는 분도 계시구요.
    일 모형, 십 모형, 백 모형을 떠올려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각자 편한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그것보다 한번 재미삼아 주제를 추천드리겠습니다.

    1.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증명하세요.
    (배워보지 않은걸로 새로)

    2-1.
    나눗셈을 하는 방법을 초등학교때 배웁니다.
    세로셈으로 하는 방법을 배웠죠?
    근데 혹시 그에 대해 궁금해해본적 있나요?
    왜 세로셈을 이렇게 해야하는가? 하고 말이죠.
    나눗셈을 이해하고 글로 써보세요.

    2-2
    그 다음, 제곱근 2의 값을 구하는 방법을 연구해보세요.
    간단하진 않지만, 수학적 사고 능력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겁니다.

    3.
    우린 방정식 문제 따위 쉽게 풀어버리곤 합니다만....
    과연 그럴까요? 우린 방정식을 쉽게 풀 무기를 가지고 있던 것 뿐
    다른 방식으로 풀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이집트 수학문제 하나를 내드리겠습니다.
    그 당연해 보이는 등식의 성질과 미지수라는 개념을 이용하면 초딩도 풀 수 있는 문제로 전락하지만,
    그것을 거세하면 아마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것을 느끼실 겁니다.
    거기에 사칙연산과 등호 기호를 사용하지 말고 자연어로 풀어 써보세요.
    수학을 열심히 하신 분이면 문제를 보자마자 미지수를 떠올리실텐데 그 개념을 당대에는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진리를 궁리 하는 수학자가 되어 이 난제를 해결해보세요.
    그리고 평소 수학 문제를 풀 때 사용하지 않는 느낌이 머릿속에서 불쾌하게 일어날 겁니다.
    한번 해보세요.
    *이집트에서 미지수를 아하라고 부릅니다.

    "아하와 아하를 7로 나눈 것중의 하나를 더하면 19다. 아하는 얼마인가?"

    옛 시대 수학자들이 이 문제를 푸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구나. 하는 걸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난이도는 크게 높진 않구요. 수학과 담을 좀 쌓았다고 해도, 조급해 하지말고 꾸준히 연구한다면
    언젠간 풀리는 수준의 문제입니다. 이미 답도 존재하구요. 재밌게 풀어보세요
  • 크킄 2024.05.22 04:30
    분명 재구성님 재밌으시라고 쓰신 글 같은데 제가 너무 재밌게 느껴지는 글이네요. 벗어나는 경향의 사고 방향을 가진 분들을 저격하신 건가? ㅎㅎ
  • me 2024.05.11 16:35
    그냥 수 보고 앞에서부터 할지 아니면 10에서 일의자리 빼서 할지 생각 후 계산해요
  • 신비 2024.05.11 18:54
    수학도 재능의 영역이라, 재능이 뛰어나면 달력이나 주식을 암산으로 계산하겠죠! 고지능자라고 막 수학에 특출나는건 아니고 평균보다 잘하는 정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605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327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44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1090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2041
4091 아이큐테스트..수리언어 1 주녕이 2015.03.28 488
4090 남은 시간이 결과에 영향을 주나요? 1 이응 2020.07.17 488
4089 지능 유전에 패턴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많은데 최... 2 신비 2023.07.12 488
4088 지나간 iq 테스트 7 file 보리 2022.03.14 489
4087 최신 연예인 웩슬러4판 결과 화성인 2023.07.14 489
4086 인지훈련이 거의 효과가 없는 이유 4 화성인 2023.07.20 489
4085 국어만 못하는 이유는? 5 가가가 2022.04.30 490
4084 수리도형테스트 1 ㅇㅇ 2018.01.08 491
4083 이거 신뢰할 수 있나요? 1 file !! 2020.03.26 491
4082 아이큐 인증+멘사 회원 가입 방법 알려주세요! 2 file Emotion lee 2022.06.10 491
4081 퀴즈의 정답 및 해설 6 샐리 2023.03.02 491
4080 독서는 외로움과 열등감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file 소닉좌 2023.04.02 491
4079 좀 낮은거 같은데 1 멍청함 2019.12.01 492
4078 멘사 테스트 함 봐볼까요 Jjj 2019.12.11 492
4077 나의 체감 IQ 9 화성인 2023.06.17 492
4076 멘사 가입 기준이 아이큐 말고 따로 있나요? 1 file Chaewon.H 2021.09.06 493
4075 이득이 되지 않는 논쟁은 피하는 것이 상책 7 화성인 2022.10.11 493
4074 왜이렇게 다를까요? 4 file 아아아아아 2022.11.03 493
4073 수리언어도형 과 도형(멘사유형) 아이큐 차이가 심... 5 돌나무인간 2022.02.12 494
4072 신비님은 저평가된 사람입니다 3 주목받기 싫은자 2021.06.11 495
4071 중간부터 풀었는데. 1 궁금해서 2016.03.11 496
4070 IQ test org(2023년에 유행하는 테스트) 6 file 신비 2023.06.06 496
4069 아이큐145이상 3 file 시형 2021.09.18 497
4068 고지능 어린시절 궁금증 2 고민 2021.05.11 497
4067 도형(멘사유형) 137 file 설의 2020.04.09 4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20 Next
/ 220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