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9998 추천 수 0 댓글 10
Extra Form
IQ 종류 수리도형
IQ 측정값 140
천재들의 뇌를보면 정수리가 크고 옆통수와 앞이마가 나온 사람이 많더라고요
수리력:계산력(좌뇌) 수열(우뇌)
공간지능력:우뇌
단기기억력(좌뇌) 장기기억력(우뇌)
추리력:좌뇌
상상력:우뇌
창의력:양뇌

이렇게 쓰이고 있는게 맞는지요????

성공한 천재들이 항상말하는게 창의력을 중요시 했잔아요.
남들과 다른생각 아이디어 등등

아인슈타인도 대학때 언어 과학 수리는 낙제점수였고,
예술과목을 정말 잘했다고 들었어요.

빌게이츠는 자폐증이였고,
아인슈타인은 언어력과 기억력이 안좋았었고
모차르트는 수학을 못했다내요

아이큐가 높으면 단기기억으로 암기를했을때
잠을자면 장기기억력으로 넘어가는데
단기에서 장기로 넘아가는속도가 빠를까요???

우리나라에선 좋아하는일로 성공하기 힘들조?? 좋아하는일하다 망하면 손해가크고
암기식공부고 창의력도 쓸때없고
남들과 똑같은 생각으로 돈만벌면 되닌깐요 우리나라는??
천재가 그래서 나오기 힘들까요??

  • 아큐 2009.09.07 20:59
    기억도 빠르고 나이에 비해 머리돌아가는게 빠른게 천재 같음.나이가 들면서 회전 속도가 아무래도 떨어지니 아인슈타인 이나 에디슨 같은 노력형 천재가 빛을 발할듯.
  • 오만필 2009.09.07 21:44
    창의력이 천재 아닐까요 기억도 빠르고 머리도빨라도 없던걸 만들어내는 능력이 없을텐대요
    세상을 발전시킬려면 창의력 아닐까요???
  • 33 2009.10.17 22:38
    동의하지만 기본적인 밸런스는 있어야한다고 생각되요. 종종 천재들은 사회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죠. 자신의 천재적 창의성과 이 사회를 연결시켜주는 사회성이 없다면 자신의 능력을 빛내지 못하고 잊혀지는 경우가많습니다.
  • 흠.. 2009.10.30 10:40
    밸런스가 왜 필요합니까, 밸런스 맞추다가 원래 그 본질의 우수한 능력을 잊어버릴수도 있습니다.
    한가지면에서 천재성을 보이면 그 면을 최대한 도와주어서 세계에 기여하도록 해야하지 않습니까?
  • 33 2009.11.04 11:30
    아론이 그렇게 죽고, 랭건이 그렇게 무시받고 그런이유는 사회에서 도와줘서 그렇답니까? 물론 그러면 금상첨화지만 기본적으로 사회와 접촉이 안될정도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수 없습니다. 너무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있으면 안된다는거죠. 그쪽이 제시하는 것은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고 저도 그리 됬으면 좋겠지만 현실 사회에선 적용하기 힘든 방법입니다. 이끌어줄 사람이 있다면 좋겠지만,그런 사람은 거의 없다는거죠. 아인슈타인,뉴턴 그들은 누가 도와줘서 성공했나요. 고흐는 죽기직전 인정받았지만 그런 운마저 없었다면 역사속에 묻혔을겁니다. 결국에 능력이 있더라도 그걸 전달해줄만한 아주아주 기본적인 사회성도 없다면 불가능합니다. 이해되셨나요? 그리고 밸런스 맞추는데 능력을 잃다니요; 무슨 게/임 스텟 찍습니까?
  • 흐음 2009.09.26 22:49
    나는 노력형 천재가 아니라서 물론 천재도아니지만 ㅋ
  • 모양. 2009.09.29 01:12
    실제 있다면 외계인 같은 경우 정수리가 삐죽하다지요.아이큐는 300~400사이로 추정.
  • 추측 2009.10.04 00:06
    우리나라는 천재가 많았겠지만 경제발전이 있기전엔 아인슈타인이 아프리카 원주민속에서 생활하듯 돼서 동화돼 버리는 꼴이 었겠죠.
  • ... 2009.10.08 23:42
    경제력이 없기 때문에 미국보다 천재가 더 많다는 소련이 밀림.
  • ㅋㅋㅋ 2011.07.31 23:23
    나 어릴때부터 이마튀어나왔다고 엄청 놀림받았는데. 막 이마외계인그러면서...
    이 글 보니까 위안이 되네요.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5 로즈마리 2004.08.04 895206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2092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60184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400840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850
3622 NSE 결과 2 file Jacob 2024.04.04 708
3621 웩슬러에서 숫자 외우는 건 뭐 검사하는 건가요? 1 익명 2021.09.21 710
3620 진짜 노력을 해야된다고 생각하는게 2 cloud 2019.08.22 710
3619 물체를 떠올리는 능력 13 하늘 2022.10.06 714
3618 adhd 아이큐 관련있나요 1 ㅇㅇㅇㅇㅇ 2022.07.27 714
3617 지능과 글쓰기 실력은 서로 상관이 있을까요? 7 샹크스 2021.03.09 715
3616 공통성 점수 1 투탕 2022.06.15 715
3615 아이큐 높이는 습관이나 방법같은게 있을까요? 2 라이오넬 2019.09.03 716
3614 아이큐 124 1 file 나나 2020.03.03 716
3613 이거 10~20정도 높게 나오는거아닌가요? 1 키요옿 2020.04.04 716
3612 고지능지의 우울증 3 브로콜리 2021.05.31 717
3611 130 이상만 되어도 아주 우수한 지능입니다 6 Sdf 2022.03.23 717
3610 수리/언어에 대한 견해 2 file ? 2020.04.20 717
3609 수리/도형 sd15 135 2 ㅎㅅㅎ 2019.03.04 717
3608 WAIS 기준 130이상 줄세우기 의미있을까? 8 화성인 2023.02.03 718
3607 경계성 지능일까요? 4 file 그림그리는 사람 2022.09.26 719
3606 오랜만에 올립니다 4 file rainbow 2023.12.13 720
3605 수리언어 했을 때와 아이큐 차이.. 3 진주 2018.12.08 721
3604 아이큐와 다국어 능력 6 언어 2020.12.11 721
3603 높게나온건가요? 1 철쟁이 2016.04.19 721
3602 인터넷 아이큐테스트(레이븐스 등) 풀어보고 웩슬러... 1 JSK 2021.03.15 722
3601 비교적 쉬운 문제 6 file rainbow 2024.01.19 722
3600 박창현이 본 slse48 테스트에요 1 file 2021.02.17 723
3599 수리/언어/도형, 만 26세 131 나왔습니다 1 요시야 2015.04.02 725
3598 워크넷 직업적성검사 해봤습니다 1 file 워크넷 2022.03.28 7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219 Next
/ 219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