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8살 고등학교 2학년 학생입니다
수리/언어/도형에서 124, 도형(멘사유형)에서 128이 나왔습니다
요세.. 스트레스를 극심하게 많이받아서.. 성격검사 및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를 봤는데
100(진짜 많이 긴장했어요) 정도가 나왔네요.. 심히 충격입니다
덤으로 불안감,분노조절장애,우울증,불면증이 있는상태라네요..
그래서 병도 고칠고 지능도 130까지 올리고 싶은데 올리는 방법좀 도와주세요..
또한 기억법이 과연 지능을 올리는건데 도움을 줄까요??
그리고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작업기억 테스트 죽 숫자거꾸로 하기가 있던데
69651 >> 15696 이런게 있던데 너무 어렵던데 훈련을 하면 할수있잖아요??
이게 작업기억을 올리는건지 아니면 훈련을 통한 익숙함에 되는건지 궁금하네요
작업기억 능력은 입력되어 저장된 정보를 어떤 특정한 목적에 부합되는 순으로 배열,조합해서 프로세싱화하는 능력을 보고자 함이고 메타인지 능력과 더불어 학습능력향상에 가장 걸맞는 능력이죠.
실제로 공부 잘하는 학생들의 작업기억능력은 일반인과 비교, 다들 우수합니다.
입력된 데이타를 잘 분류,배열,조합해서 처리하는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시험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낼수있는 요인이 되기도 하죠. 지능이 뛰어나더라도 작업기억능력이나 메타인지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면 학교성적이 잘나오기는 힘들다고 보면 됩니다.
7가지 숫자를 불러주고 이를 거꾸로 얘기하게 한다거나 또는 한자리 건너서 말하게 한다거나 또는
전부 다 더해서 합을 내게끔 한다거나 하는등 여러가지 테스트 방법이 있습니다.
집중력과 기억력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물론 훈련에 의해서 향상시킬수 있습니다.
웩슬러 지능지수 측정에 대해서도 미국에서는 논란이 여지가 많은데 특히 국내 웩슬러 지는검사의
방식(퍼즐 맞추기,숫자 외우서 거꿀로 말하기,숨은그림 찾기,동의/반의어 찾기,단어뜻 알기,숫자계산,
기타 비유동성/유동성 지능측정에 괸련된 테스트를 통해서 개인의 지능을 찾아내는 것인데 이런 측정
항목은 훈련에 의해서 최대 40~50까지 늘리수 있다라는 얘기도 있어서 현재 미국에서는 계속 개정판이
나온다고 하는데 정확한 현황은 질모르겠습니다.
뇌과학자들 사이에서도 현재의 지능측정방식에 대해서도 서로간 이견이 많은 상태라서 한번의 테스트로 그결과에 대해 왈가왈부하는것도 조금 안타깝게 보입니다.
당일 수검장 상태,피검자의 건강상태,수검태도등등 여러 내,외부적 요인으로 지수결과가 차이가 많이
날수도 있어서 말이죠. 물론 편차적용이 되는것도 이런 요인떄문에 생긴것이기도 하지만 말이죠.
아이큐가 140이 넘는데도 학교성적이 안좋다고 한다면 대부분 작업기억이라든지 메타인지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그런겁니다. 집중력과 평소 데이타를 분류,배열,조합,처리하는 능력을 키우던가
해야 원래 가지고 있는 뛰어난 지능과 더불어 학교성적을 향상시키는데 이용할수 있는데 이런 부분
제대로 알고있는 사람이 극히 드문 상황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