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지수(IQ)는 같은 또래끼리 지능을 평균 100을 기준으로 상대 비교하여 등수를 매기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방 친구도 지능이 변하므로 지능 등수를 나타내는 아이큐(IQ:Intelligence Quotient:지능지수)는 나이가 들어도 크게 변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지능≠아이큐)
따라서 특정 개인의 IQ 점수는 평생 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IQ도 집중적인 행동치료 등을 받으면 자폐아 진단을 받은 어린이의 경우 등은 IQ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부터 60대 후반까지 약 5만 명의 참가자들이 개별 조사 결과
- 정보 처리 능력은 18~19세에 최고조.
- 단기 기억력은 25세 전후에 최고조 이후 정체 상태 유지한 다음 35세쯤 감퇴.
- 사람의 얼굴을 알아보는 능력은 30대 초반에 최고조 이후 감퇴.
- 타인 감정상태를 인지하는 능력은 40~50대에 최고조.
- 어휘능력은 60대 후반이나 70대 초반에 최고조.
위와 같이 추리력, 기억력, 도형지각 능력 등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인 유동성 지능(fluid intelligence)과 언어, 수리 , 문제해결 능력 등은 후천적 경험, 학습, 판단력 등으로 나이가 들어야 최고조에 달하는 후천적으로 획득한 능력인 결정성 지능(crystallized intelligence)이 있다. 이 두 가지 형태의 지능은 나이가 들어가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최고조에 달한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이다.
자료출처: [i]newsweek.com/you-can-teach-old-dog-new-tricks-313814 / NEWSWEEK
[ii]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846494 / JTBC 어휘능력 60-70대에 '활짝'
[iii]sciencetimes.co.kr/?news=iq가-최고조에-달하는-나이는 / Science The Times
연관 게시글
- [2018/12/13] 2018년도 초.중.고등 학생 희망직업 상위 10위 현황 (750) *1
- [2018/11/05] 기억력의 비밀- 당신도 기억력 천재가 될 수 있다. (976)
- [2017/05/30] 우리나라 학생 학업 성취도와 행복도 (810) *2
- [2016/12/01] 서울대생 평균 IQ는 117 (16984) *17
- [2016/04/15] 공부의 신 강성태 아이큐 테스트 결과 (9578) *6
후천성 지능은 나이가 들수록 보석(결정)처럼 닦으면 닦을수록 빛이 나기 때문에 결정성 지능(Gc)이라고 하고, 선천적 지능을 유동성 지능(Gf)이라 합니다.
※과목별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의 상관관계
과목별
유동성지능(Gf)
결정성지능(Gc)
화학
0.516
0.385
물리학
0.568
0.515
생물학
0.409
0.397
심리학
0.361
0.391
사업/경영
0.352
0.395
천문학
0.440
0.518
전자공학
0.347
0.451
경제학
0.397
0.501
법학
0.188
0.379
지리학
0.320
0.527
음악
0.269
0.527
예술
0.168
0.600
세계문학
0.253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