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IQ 종류 수리/언어
IQ 측정값 134+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23세 잉여 대학생 여자인데요... 그냥 생각나는 게 있어서 글을 쓰네요.


으음... 저로 말하자면 저 위의 134/15는 사실 최악의 컨디션에서 지능검사를 한 결과인데요. 

새벽 2시쯤에 불면증 해소를 위해 머리는 멍한 상태고 반쯤 다운된 상태이지만 완전히 잠이 오진 않아서 머리아픈 상황에서 대충 찍어서 나온 결과라서요. 수리수열 8자리를 보는데도 계속 까먹어서 2번3번씩 보면서 풀었어요 ㅠㅠ

저 같은 경우에는 일반 컨디션에서는 140/sd 15이상 나오구요.(요 사이트에서는 137이 만점인걸로 알지만...) 고등학교때는 320명중에 지능검사 수치가 전교 1등이었어요.

결과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아무리 못해도 상위 0.5%이내라고 생각하네요.



암튼 본론으로 들어가자면요.

제가 살면서 경험한 바로는, 상위 1-2%이내의 고지능자들이 일반 지능집단과 구분되는 주요 특성은 바로 다각도의 관점에서 고속으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점과 일반인과 다르게 사건이나 사물, 관념에 대해서 한두차원 더 높은 수준에서 바라볼 수 있다라는 것인데요.


불행히도 수능은 이와는 방향성이 다르죠...

일단 수능 유형이라는 걸 조금이라도 보신 분은 알겠지만... 솔직히 복잡분석을 요하는 문제가 아니라 정형화된 패턴과 약간의 응용만 있으면 되는 것인데요.

고지능자들은 그 특성상 다변화된 분석이나 입체적인 view가 있기 때문에, 도리어 국어 같은 과목에서는 그러한 장점이 단점으로 작용하여 공부를 하지 않으면 틀릴 수도 있고 오답을 낼 가능성이 높아지는 면도 있는 것이죠. 


애초에 한국의 수능이나 보통교육 체계 자체는 사고 능력이 제한된 사회의 노동자와 소모품을 만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민주사회의 시민이나 지성인, 생각하는 사람을 키워내기 위한 게 아닌지라 이러한 점들은 더더욱 두드러집니다. 

괜스레 한국의 상류층이 아예 어릴 때부터 선진국에 유학보내 거기서 대학 졸업까지 포함하는 모든 학습과정을 다 마치게 하거나, 혹은 한국에서 명문대는 보낼지라도 초중고 환경은 외국이나 분리된 환경의 국제학교에서 거치게 하는 게 아니거든요.  개인적으로는 중고등학교 시절 이러한 것들을 '바-보 제작 툴'이라고 불렀었네요.



상위 2%이내의 고지능자의 경우에는 도리어 요러한 선천적인 다분화성, 사고의 다각성과 입체성으로 인해 정형화된 패턴학습에는 일정 수준 마이너스일 가능성도 있는데요. 

상위 20% 지능 보유자의 경우에는 평균적인 학생들보다는 두뇌회전 속도가 우수하나 두뇌사고기전 자체는 평균치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도리어 정형화된 패턴 익히기라는 측면에서는 더 나을수도 있어요. 이러한 작동 기작의 차이로 인해 상위 1% 이내의 고지능자보다는 상위20%지능 + 적당한 패턴숙련(즉 노력)이 학업성취에 있어서 좀 더 높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높은 것이라고 추론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의 지능검사에서 상위 0.5%이내의 결과를 받았었지만 성적 면에서는 사실 최상위권은 아니었는데요. 

어차피 공부를 안 해도 일정 선(1-2등급)정도는 패턴분석과 암산-공식암기만으로 바로 나오는 면이 있었던 것과, 사회지도층과 교육엘리트들이 심어놓은 보통교육과정에서의 심리공학적 의도가 뻔히 읽혀졌던 것으로 인해 통상적인 학업에 대해 관심 자체가 안 가더군요. 대신 이것저것 관심있는 주제의 책들은 한 3천권쯤 읽은 것 같지만요.


솔직히 중고등학교에서 배운 것보다, 게임에서 매치랭킹찍고 길드활동하고 사람들 심리분석하면서 배운 게 더 많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지능과 노력, 성공에 대해 조금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데요.

여기 보니까 서울대 평균 아이큐가 117? 그래서 노력 열심히 하면 성공한다 요런 관념들을 가진 분들이 많은 거 같은데, 이건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지하는 건 아니라고 봐요.


117로 노력해서 서울대 들어가고, 3.5 이상의 평타이상 학점으로 졸업했다. 뭐 여기까진 좋았다고 쳐두....

그러면 그 뒤에는요?


솔직히 딱 까놓고 말해봅시다.

저렇게 명문대 나와도, 다각도로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남의 심리를 읽는 능력, 자기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이 없으면 그냥 바-보 똑똑이에 불과하지 않나요? 솔직히 sky 애들 많이 만나봤는데 대부분은 그다지 똑똑하지 못하고 정치선동이나 뉴스에 나오는 데로 이리저리 휘둘리는 부평초들이 많더군요.(물론 똑똑한 애들의 비율도 일반집단에 비해 조금 더 높은 건 사실이긴 합니다.) 도리어 고졸이지만 나름 생각하고 기회찾아서 분석하고 하는 애들이 더 똑똑한 경우도 많던데요.

그러면 그냥 그런 거 없는 남들이 하는 데로 안전한 직장 찾아서 어찌저찌 취업해서, 그냥 남들보다 조금 더 좋은 간판을 가졌을 뿐인 회사원으로 사회에서 부림당하다가 끝입니다. 전략적인 사고와 기회를 분석하지 못하고 남의 주장에 휘둘리기만 하는 자들의 말로는 그러해요.


속된 말로 말해서...

나는 죽어라하고 노력해서 변호사 되고 매일 밤새서 사건 검토하고 뛰어다니는데, 저기 앞에 있는 부대찌개집 사장님은 그냥 점심시간 바쁠때만 바쁘고 설렁설렁인 거 같고 공부도 별로 안한 거 같은데 정작 돈은 나보다 몇배는 더 많이 벌더라... 이런 시나리오가 사실 흔하거든요.



그러면 과연 이러한 사고구조의 개선이나 개인이 가진 지능의 paradigm shift가 가능한가?... 글세요 솔직히 좀 부정적이구요. 

지능검사나 여타의 test류에 대해 패턴숙련으로 그 자체의 결과물을 향상시키는 건 분명히 가능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본인의 뇌 회로 성능 자체가 그만큼 극적으로 증대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 


사실 저도 이러한 뇌기능의 극적인 향상을 위해 많이 노력했었는데 대부분 그다지 효과가 없었구요. 자기최면이나 컨디션 관리 기법들의 경우에는 체감영향이 있긴 하였지만 뇌회로의 작동기전 자체를 뒤바꿀 정도로 변화하는 경우는 드물었던 것으로 보이네요.

솔직히 주변 사람들보다 분명히 물리적인 brain performance가 수 배 이상 좋기는 했어도, 정작 이 사회가 돌아가는 그 근본 기전이나 전략전술, 지혜와 같은 것들을 이해하려고 연구하다 보니 머리가 매우 나쁘다는 것만 체감되던데요... ㅠㅠ 



물론 고지능이어도 노력을 안 하면 그냥 낙동강 잉여가 된다는 말은 맞는 말이며, 행복은 성적순이나 지능순이 아니며 마음에 달려있는 것이기에 행복-성공이라는 건 지능 or/and 성적 변수와는 전혀 상관없는 것이지만...


머리와 상관없이 노력하는 사람 (한국인들이 생각하고 바라는 통상적인 물질적/세속적 의미에서)성공한다는 한국인의 고정 관념이 맞는 말인가 하면... 글세요. 

사실 뭐 평범한 삶이거나 20년 노력해서 서울에 아파트 하나 사는 정도의 삶이라면 모르겠지만, 자신의 운명을 바꾸고 기회를 잡고 세상을 바꾸는 건 극도로 어렵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러나 고지능에서 비롯되는 전략적 사고관과 입체적인 안목은, 개인의 적절한 노력과 운이 따라준다면 크게 개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봐요. 

물론 선천적인 머리는 조금 안좋았더라도 이러한 지혜와 입체적인 안목을 얻을 수 있다면 충분히 선천적인 고지능자 못지 않을 정도로 갈 수 있겠지만, 아직 그러한 사례를 보지 못해서 이에 대한 확신은 없습니다.


  • louis 2022.05.22 22:19
    안녕하세요~
    구글링하다 흥미로운 글을 발견해 저도 짧은 글 남겨보렵니다.

    우선 저는 지적 능력이 한가지 숫자로 떨어질 수 있다는 가정을 부정합니다.

    생물학적으로 단순하게 생각해보아도 두뇌도 각 부위로 나뉘어 각자 특화된 역할을 수행합니다.
    지성이라는 것은 CPU 클럭같이 단순한 개념이 아니며, 정보를 인지하고 처리하고 저장하고 통찰하고 더 가치있는 정보로 바꾸는 굉장히 다채로운 과정을 퉁쳐 말하는 개념입니다.

    *CPU조차 클럭이 완벽히 같아도 다른 퍼포먼스를 냅니다.

    지능이라는 것은 필연적으로 고차원적이므로, 1차원적으로(하나의 숫자로) 나타내는 것은 부정확하다.
    이것이 저의 관점이고, 그렇기에 저는 지능지수 자체에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살아왔으며 제가 직접 어딜 가서 지능지수 테스트를 치른 적은 없습니다.

    하지만 읽으시며 참고하실 수 있도록 간단하게 언급은 해두겠습니다.

    초등학교 시절 영재원에서 치른 검사 결과 149라는 것을 부모님께 건너 들었습니다.
    지금 알아보니 웩슬러 지능검사를 사용하는 영재원이네요. 웩슬러 검사이지만 아마 저희 부모님이 듣기에 좋으시라고 SD24 수치로 전달드린게 아닌가 추측합니다.

    중학교 시절 전교생 대상으로 치른 다중지능검사의 특정 부분(공간지각능력)에서 T점수 79점을 받았습니다.
    SD15로 변환 시 144정도로군요.

    다른 능력(언어적, 수리적 등)은 비교적 평균에 가까웠습니다. 공간지각능력만이 특별하게 높게 나온 것을 기억합니다.
    이것은 아마 전두엽의 특정 부위가 평균에 비해 발달했던 덕이 아닐까 싶네요.

    아무튼 이야기를 시작해 봅시다.

    저는 운이 좋게 초등학생 때부터 넘치는 창의력을 모두 컴퓨터의 한 특정 분야에 쏟아넣을 수 있게 되면서
    제 전공 분야에 대해 압도적인 재능을 가질 수 있게 됐습니다.

    고등학생 시절에는 국내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 훈상(국무총리상), 국가대표, 정보올림피아드 전국 금상 등의 수상실적을 올렸고,
    대학생 때에는 한 대기업에서 국내에서 제 분야를 가장 잘 하는 사람을 수소문하다가 저를 찾게 되어 한동안 프리랜서로 활동하다 현재는 창업을 한 상태입니다.

    저와 같이 일했던 사람들은 하나같이 저와 일한 경험을 "절망적이다"라고 말하곤 합니다.
    (도저히 넘볼 수 없는 실력과 퍼포먼스를 직접 옆에서 보게 되니 멘탈관리가 안된다는 의미)

    이 부분은 동아리나 중소기업 이야기가 아니라, 세계적인 대기업에서의 경험을 말씀드리는 겁니다.
    글쓴이께서 온라인게임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으시다면, 분명히 제가 개발한 코드가 글쓴이님의 컴퓨터에서 몇 번은 돌아갔을 겁니다.

    이런 배경에서, 저는 종종 이런 식으로 생각하곤 했습니다.

    '나는 뇌의 하드웨어 클럭 자체는 출중하지 않으나 효율적으로 생각하고, 메타적 훈련을 많이 해왔기 때문에 같은 시간이 주어져도 남들보다 일관적으로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것 같다.'
    가설: IQ와 뇌의 하드웨어적 성능보다, 생각하는 방향성이 더 중요하다.

    때문에 고지능자와 관련된 사례들을 조사해 보던 중 이 글까지 찾아오게 된 것이 오늘의 경위네요 ㅎㅎ..

    오늘 발견한 글쓴이님의 글을 차근차근 읽어보고,
    저는 제 가설이 맞을 확률이 크다고 확신하게 됐습니다.

    꽤 큰 수확이고, 뿌듯한 하루가 됐네요 ㅋㅋ

    제가 보기에, 글쓴이님은 뭔가 크게 잘못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너무 아쉽습니다.

    글쓴이께선 전반적으로 IQ라는 수치에 대해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큰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IQ 테스트란 테스트를 다 찾아서 치르거나, 서울대의 평균 IQ, IQ 올리는 방법 연구 등,
    본인의 IQ를 과시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과하게 수집하고 있습니다.

    IQ라는 수치에 대한 애착이 일반인들에 비해 과하게 높아 보이는 것이 제 협소한 편견은 아니겠지요.

    또, 글에서 전반적으로 IQ나 뇌의 하드웨어적 성능이 높은 것이 최고의 가치이고, 그런 면에서 나는 당신들보다 우월하다라는 관점이 느껴집니다.
    선민의식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반면, 높은 IQ를 가진 것 이외에 본인이 어떤 성취를 이루었는지에 대해서는 글에서 제대로 드러나지 않네요.
    아마 성취가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기본적으로 높은 IQ를 지녔으나 원하는 만큼의 성취를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해
    자존감에 상처입지 않으려고 높은 IQ의 가치를 올리고, 매우 높은 수준의 IQ를 갖지 못한 사람들의 성취의 가치를 내려치고 있는 글입니다.

    글의 스탠스에서 이렇게 추론할 수 있습니다.

    1. 글쓴이는 일반적 성취(사회 경제적 성공 등)에 본 가치를 두고 있다.
    2. 글쓴이는 본인이 원하는 수준의 일반적 성취를 이루지 못 했고, 이것에 불만이다.
    3. 글쓴이는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높은 선천적 IQ의 가치(본인이 가진 것)를 올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성취를 낮추려 하고 있다.
    4. 글의 내용을 보건대, 이런 방어기제적 사고 방식은 이 글 뿐만 아니라 글쓴이의 삶의 자체 전반에서 갖춰진 것이다.

    본인의 가치관에 대해 잘 생각해보세요.

    왜 선천적으로 높은 IQ에 대해서는 고평가하면서,
    사회적 성취를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원하고 있으면서,
    높은 IQ를 가지지 않은 자들의 사회적 성취는 저평가를 하고 있는 것일까요?

    스스로의 사고 방식이 꽤나 모순되지 않았나요?

    하나 더,
    왜 아닌 것 처럼 말하면서 본인의 가치를 (본인보다 낮은 IQ를 가진)남들이 평가하는 것에는 거부감이 없나요?

    IQ라는 것도 완벽하지 않은 수치이고, 아마 초고지능자가 만든 것이 아닐텐데요.
    책을 3000권을 읽으셨다구요? 왜 본인보다 낮은 IQ를 가진 사람의 책을 그렇게 많이 읽었나요?
    책을 3000권 읽었다고 말하면 자존감이 충전되니까?

    본인이 더 똑똑하고 더 옳은 것 아니었나요?

    똑똑하신 분이니 이만 하면 핵심 내용은 잘 전달이 되었으리라 봅니다.
    참고로 저는 기술서적이나 논문 이외의 서적은 거의 읽지 않습니다(글쓴이보다 진심으로 제가 더 똑똑하다고 믿기 때문에).

    글쓴이처럼 높은 지능지수를 가진 사람도
    글 하나에서 이렇게 알기쉽게 약점이 드러난다는 사실이 제 가설에 큰 힘을 더해주고 있네요.

    사업을 할 때에도 그렇고, 인생을 설계할 때에도 그렇고,
    모든 일에는 첫 방향 설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시작할 때의 각도가 0.1도만 틀어져도 나중에 가보면 결과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요.
    노력과 IQ는 올바른 방향 설정 이후의 이야기겠지요?

    본인의 '방향'이 잘 설정되었는지 시간이 되신다면 한 번 되돌아보세요.

    제가 표준적인 지능검사에서 글쓴이보다 IQ가 높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반대일 수도 있겠지만요)

    저는 100이면 98개 이상의 분야에서 글쓴이보다 일반적으로 훨씬 "가치"있는 판단을 내릴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제가 믿는 지성을 개발하기 위해 메타적인 훈련을 많이 해왔거든요.

    똑똑한 분이시니 더 길게 쓸 이유는 없을 것 같다고 봅니다.
    저도 오늘 한 건 큰 수확 얻었습니다 ㅎㅎ
  • 22 2022.08.18 15:41
    글쓴이는 아닙니다만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고 방향에 대한 의견 정말 와닿습니다
  • 지나가는 사람 2023.04.08 03:41
    ㅎㅎ 재밌네요 이 댓글. 은근히 자신이 똑똑하단걸 어필한 뒤 지성의 우월감에 지적을 하고 있는 모습이 모순 적이지만 좋은 통찰력을 가지신 분 같습니다.
  • Diana 2022.09.01 09:25
    고지능자에 대해 검색해보니 요 글이 구글 첫장에 나와서 당혹스럽네요... 제가 4년전에 적었던 글.... 흑ㅠㅠㅠㅠㅠ

    사실 지금은 제 개인적인 견해가 많이 바뀌었는데요.
    신경 가소성으로 인해 개인의 지능이나 잠재성은 충분히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고지능자의 상징인 다각도로 전략적인 사고를 하는 것도 특정 조건 하에서는 평범한 지능 수준에서 도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그 정도의 발전을 이루는 사례를 보기 힘들기에 논란이 되는것이 아닐까 생각도 되구요.
    개인적으로도, 저 글을 쓴 뒤로도 종종 찾아보곤 했지만 많이 발견하긴 못했습니다.. 아쉽게도요.

    인간의 지능 요소는 워낙 다종다양한 변수가 있어서, IQ 검사 수치만으로는 개인의 '지능 수준'을 완전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뇌의 특정 기능과 활성도를 간접 추정하는 정도의 일은 할 수가 있어서.. 고지능인 경우 IQ 검사에 없는 기능이더라도 일정 부분 좋을 것이다라는 추정은 가능하다고 보네요(어느 정도는 증명되어 있습니다)

    댓글들을 오랫만에 쭉 훑어보니 나름대로 성실하게 노력해서 성공하신?분들의 댓글이 많네요. 물론 대부분 비판 어조긴한데....

    사실 요런 댓글들이 달리는 건 제가 의도했던 바긴 한데요.
    저는 지금도 '노력만능주의' 에 대해서는 약간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글 자체의 작성목적 중 하나로서, 한국에서 일반적인 관념인 '노력 성공신화'에 대해 한번쯤은 다시 생각해보라는 의미를 담고 쓴 글이긴 합니다.
    당시에 제 필력이 부족해서 잘 전달이 안되고 지능 만능주의로 흘렀던 점은 아쉽네요.

    여러 댓글분들이 비판하신 대로, 개인의 성취도나 노력, IQ간의 상관관계 혹은 상호관계에 대해 섣불리 결론을 내린 건 제 잘못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하는 것은 일정 부분 세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긴 합니다.
    요즘에는 역행자(자청 저)에서 요런 전략적인 사고의 편린과 그 방법에 대해 조금 접하긴 했는데, 그 책이 아니더라도 여러 좋은 책을 통해서 통찰력을 기르거나 보완할 수 있다고 생각되긴 하네요.
  • 발전하는당신이아름답습니다 2022.10.27 19:29
    4년간 많은 생각을 하시고 성숙해지신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
    글과 댓글들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할 기회가 되어 좋았네요
  • 동병상련 2023.06.10 00:50
    노력은 전략이 올바를 때 의미가 있죠. 반대로 전략과 잠재력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노력이 빠져도 역시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에, 부정할 것은 노력 자체가 아니라 그 방향과 방법이고요. 여기서 노력은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의 포기하지 않는 시도를 의미합니다. '노력 성공신화'라고 언급하신 것은 방향성이 없거나 경직된 반복수행을 비판하신 거겠죠?

    글쓴님께서도 수 년째 무언가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계시네요. 아마 방향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을 지능으로 보시기에 4년이 지났는데도 집착하고 계시지 않나 싶습니다. 현실은 그 역할을 하는 것이 꼭 지능만은 아닙니다.
  • 수능국어 2023.06.25 08:38
    수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시네요. 지적하신 바와 다르게 2019년 수능이후 수능국어, 개중 특히 비문학 지문은 작업기억, 독해력, 추론능력, 집중력을 망라하는 비판적사고를 총체적으로 테스트하는 시험이 되었습니다.
    수능의 적성시험화 비판이 있을만큼 재능, 지능을 많이 탑니다. 지능과 성적간에 함수에서 극점이 있을거란 근거도 없고요, 통설은 선형관계입니다. 즉 지능이 높을수록 성적이 높습니다.
    상위 1프로가 시험을 못보고 상위 20프로가 잘보고 이런 말은 근거가 아주 빈약하다는겁니다
  • 이건좀 2023.08.17 14:58
    구구절절 말은 길게 썼지만
    결론은, 글쓴이 본인은 입시에서 실패했고
    그 탓을 교욱, 입시시스템 탓으로 돌리는거네요.
    열등감은 이해합니다만, 부평초라느니, 바보똑똑이라느니, 이런 과격한 표현들은 공감이 안 갑니다.
    애초에 수능 공부 제대로 해본 분도 아닌 것 같은데요.
    님이 비판하는 서울대생들보다
    님이 잘난 점이 뭐가 있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진정한 천재는? 644 로즈마리 2004.08.04 894689
공지 한국천재인명사전(The Korea Genius Directory Geni... 14 file KGD 2023.01.31 31444
공지 [FAQ] 무료아이큐테스트 어떻게 하나요? 2 file 로즈마리 2017.06.22 59567
공지 아이큐와 표준편차와의 관계 7 file 로즈마리 2005.08.25 398618
공지 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 주의사항입니다. 7 운영자 2005.11.19 371541
3182 와우........제가 이정도였다는 것이 믿겨지지가 않... 유로스 2018.04.17 980
3181 작업 기억력 나의 리버스 기록 24개 정도 19 IQ 화성인 2018.04.17 1690
3180 웩슬러 검사결과 3 DIO 2018.04.17 2320
3179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성격도 IQ에 한 몫하지 않... 2 희망을가져요 2018.04.16 1173
3178 표준편차 15로 132가 나왔습니다. 1 유로스 2018.04.15 1139
3177 이상한점...! 1 ddd 2018.04.15 411
3176 여기 테스트 유형들 중에 1 RSA 2018.04.12 457
3175 이거 신뢰할 수 있는건가요 1 문과생 2018.04.10 1819
3174 테스트할때 필기를 하면서 해도 되나요? 1 평범남 2018.04.10 914
3173 작업기억력 리버스 리드백 몇자리까지 가능한지요?., 1 강쇠 2018.04.07 622
3172 방금잰게 맞나요 2 aqua01 2018.04.07 582
3171 학교 IQ테스트 질문 1 Juno 2018.04.05 2070
3170 죄송한데 공간지각력도 후천적으로 기를수있나요? 1 ㅇㅁㄴㅇㅁㄴㅇ 2018.04.05 782
3169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160점 으로 측정받은 사람의 ... 24 평범한 사람 2018.04.04 13914
3168 랭킹쇼 1,2,3 -아이큐 높은순 1 file 로즈마리 2018.03.30 6736
3167 도형(멘사유형)은 평범하게 나왔는데 수리/언어는 ... 2 기니다 2018.03.29 863
3166 생각하는 시간도 지능에 포함되죠~? 3 방가햄토리맨 2018.03.27 958
3165 IQ 검사 제작원리를 통해 바라본 고도범위지능검사... 3 IQ 화성인 2018.03.27 1841
3164 2년에 1번씩은 해보는 거 같은데... 130(표준편차15... 3 쿄쿄 2018.03.25 1001
3163 처음 잰게 자기의 iq인가요? 2 ㅇㅇ 2018.03.19 1325
3162 여기 아이큐 테스트 늦게 제출하면 감점 있나여 2 ㅌㄷ 2018.03.18 589
3161 암기력이나 기타 기능들이 떨어지는데도 높게 나올 ... 1 blackout 2018.03.15 748
3160 만점이 몇점인가요? 1 구름과자 2018.03.14 1061
3159 고지능자의 성격적 특성에 관한 생각 8 qwerty 2018.03.08 6477
3158 토론 교육방식에 따른 IQ의 변화 8 Tron 2018.03.07 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18 Next
/ 218



■ Menu Categories

아이큐테스트
  수리/언어
  수리/도형
  도형(멘사유형)
  수리/언어/도형
IQ계산기
  나의등수?
  IQ해석기
  IQ변환기
커뮤니티
  IQ게시판
  설문조사
나만의 IQ
  Blog
  Facebook
  Cafe


무료아이큐테스트 Questions or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