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하면 당연히 더 높은 아이큐가 나올 것 같은데,
정확한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처음 1회가 기준인가요?
몇 회까지는 반복해도 상관 없나요?
수리/도형의 경우 1회 때 시간 초과.
2회 때 130 그리고 시간 2분 정도 남음.
심심해서리
2015.05.03 10:24
처음 풀 때는 시간이 모자라 못 풀었는데 두 번째는 시간이 당연히 남았어요
조회 수 936 추천 수 3 댓글 1
반복하면 당연히 더 높은 아이큐가 나올 것 같은데, 정확한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처음 1회가 기준인가요? 몇 회까지는 반복해도 상관 없나요? 수리/도형의 경우 1회 때 시간 초과. 2회 때 130 그리고 시간 2분 정도 남음.
|
|||||||||||||||||||||||||||||||||||||||||||||||||||||||||||||||||||||||||||||||||||||||||||||||||||||||||||||||||||||||||||||||||||||||||||||||||||||||||||||||
|
■ Menu Categories |
||||||||||||||||||||||||
|
||||||||||||||||||||||||
|
처음 실시한 오염되지 않은 테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자신의 아이큐는 신뢰구간 내에서 나옵니다.
지능 검사를 여러 번 반복해서 패턴을 파악해 좋은 성적을 얻었다면 그 결과는 오염된 결과이기 때문에 신뢰할만하지 않습니다.
단 이런 능력도 지능에 속하는 건 맞지만, IQ 110대~120대 사이 정도면 1회차 풀이를 통해 문제의 패턴을 읽어낸 뒤에는 빠르게 문제를 적어 내는 능력이 있어서 IQ 검사 점수가 초기에는 낮게 나오다가 나중에는 자기 지능보다 높게 나오는 게 일반적입니다.
인터넷에서 스스로 진단하는 것이니 자신만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주어진 시간 안에 정확한 측정을 하여야 자신의 아이큐를 추측할 수 있습니다. 정답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사람의 기억이 사라질 6개월 후에 다시 측정해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곳에는 여러 유형의 아이큐 테스트가 있습니다.수리 언어는 학습효과에 의해 나타나는 후천적 아이큐에 속하며,도형은 비 언어적 영역으로 태어날 때 물려받는 선천적 아이큐가 강하게 나타날 것입니다.